종류별 암/뇌종양297 양성성상세포종 양성성상세포종 일반적 특성 양성성상세포종은 뇌종양중 비교적 자주 볼 수 있는 양성종양입니다. 200년도 보건복지부의 보고에 의하면 2000년 1년동안 양성성상세포종으로 진단된 신환은 모두 216명(이중 fibrillary astrocytoma가 66명)으로 전체 뇌종양환자 1018명의 21.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양성성상세포.. 2009. 3. 11. 뇌림프종 (CNS lymphoma) 뇌림프종 (CNS lymphoma) 일반적 특성 뇌 림프종은 드문 질환으로 전체 발생빈도는 AIDS(에이즈)가 일반화되기 전에는 전체림프종의 1%정도에 불과하였으며 최근에는 발생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호발연령은 AIDS이전에는 대략 30-50세에 호발하였으나 최근 AIDS이후에는 20-30대로 낮아지는 추세에 .. 2009. 3. 10. 핍지교종 (Oligodendroglioma) 핍지교종 (Oligodendroglioma) 2002년도 보건복지부의 보고에 의하면 2000년 1년동안 핍지교종으로 진단된 신환은 모두 91명으로 전체 뇌종양환자 1018명의 8.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호발 연령 : 25-45세 비교적 병을 앓은 기간이 깁니다.(즉 아주 천천히 진행됩니다.) 환자의 70%이상에서 발작을 경험합니다. 가장.. 2009. 3. 9. 뇌종양 ☆ 뇌종양 뇌종양이란 두개골에 쌓인 안쪽에 발생하는 종양을 통틀어 뇌종양이라 하며, 뇌 자체에 발생하는 종양은 말할 것도 없고 수막(뇌막), 뇌혈관, 뇌하수체, 뇌신경 등에서 발생하는 종양도 포함시켜 모두 뇌종양이라 한다. 뇌종양의 빈도는 인구 10만 명에 대해서 원발성 뇌종양은 10명, 전이성 .. 2009. 3. 7. [스크랩]뇌종양환자 수술 후 삶 뇌종양환자 수술 후 삶 1. 재활 재활은 치료계획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재활의 목표는 환자의 필요 정도와 종양이 환자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담당의사는 가능하면 환자로 하여금 빨리 일상 생활로 돌아오게끔 노력합니다. 환자와 환자의 가족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식사.. 2009. 3. 6. 뇌종양 증상은 ? 뇌종양 30%의 첫 증상은 발작 처음 생긴 발작이 특히 성인에게 일어났을 때 가장 관심되는 사항은 그 원인이 뇌종양일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뇌종양의 약 30%는 첫 증상으로 발작이 나타납니다. 구조적 영상(MRI, CT)의 발달로 뇌종양은 쉽게 진단 할 수 있습니다. 뇌종양은 고정된 병변이 아니라 진행하는.. 2009. 3. 5.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