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당뇨교실1695 [스크랩] [당뇨병]작용시간이 느린 인슐린 사람의 행동도 확실한 것이 좋습니다. Yes와 No가 분명한 사람이 결국에는 인정을 받죠. 인슐린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속효성 인슐린은 생각보다 그리 날쌔지 않아 문제지만 반면 하루종일 작용을 하도록 맞는 중간형 인슐린(NPH)도 프로정신이 부족한 편입니다. 이 중간형 인슐린의 임무.. 2009. 2. 24. [스크랩] [당뇨병]작용시간이 빠른 인슐린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작용시간이 빠른 인슐린인 속효성 인슐린은 피하로 맞고 나면 작용이 나타나는데 최소한 30분 이상의 시간이 걸립니다. 그렇다 보니 현재 식사후에 급격하게 올라가는 혈당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인슐린을 식전 30분전에 맞는 것이 불가피합니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에게 식사시.. 2009. 2. 24. 당뇨병 진단, 당화혈색소 검사로 바꾼다 당뇨병 진단, 당화혈색소 검사로 바꾼다 그간 주로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관리에 쓰여 온 당화혈색소(HbA1c) 검사가 조만간 당뇨병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미국당뇨병협회(ADA)에 따르면, 향후 6개월 이내에 주요 당뇨병 단체들 간의 합의를 통해 당화혈색소를 제2형 당뇨병을 진단하는 .. 2009. 2. 21. 가장중요한 발관리 심장에서 가장 먼곳이 발 입니다. 혈액이 동맥타고 하행 하였다가.그피가 고스란히 상행 하면 좋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당뇨환자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서 당뇨환자 에게 가장 좋은 운동이 걷기인 것 입니다. 발 근육 수축 이완 운동으로 혈액을 조금 이라도 더 위로 올려야 하니까요 고인물은 썩드.. 2009. 2. 18. [자료] 당뇨병에 쌀밥은 나쁘고 보리밥은 좋다 당뇨병이란 소변에 당분이 나온다는 데서 이름이 붙은 병으로 혈액속의 포도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이다. 포도당은 3대 영양소의 하나인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만들어지는데 탄수화물은 우리가 먹는 밥에도 많이 들어있다. 그런데 포도당이 우리 몸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인슐린이라고 하는 호.. 2009. 2. 5. 차가버섯 - 당뇨병 예방 저자 : 호시자키도오메 [5. 당뇨병 예방] 당뇨병이란 인슐린의 작용 부족에 의해 혈당치가 높아지는 병을 말한다. 식생활의 변화, 특히 구미화에 따라 당뇨병 환자가 증대하고 있어, 최근은 당뇨병도 암과 같은 국민병으로 인정되고 있다.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감소함으로써 식물.. 2009. 1. 30. 이전 1 ··· 256 257 258 259 260 261 262 ··· 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