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코리아가 지난해 디카페인 음료를 총 3270만 잔 판매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년보다 55% 상승한 수치이자 2017년 이후 가장 많은 판매량이다. 그중에서도 디카페인 아메리카노는 전체 음료 중 네 번째로 많이 판매되며 전체 아메리카노 판매량 중 10% 이상을 차지했다. 디카페인 커피는 문자 그대로 ‘카페인을 분리(de)한 커피’로 카페인에 민감하거나 카페인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좋은 선택이다. 카페인 분리 후에도 커피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디카페인 커피는 카페인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 공정을 거쳐 만든다. 카페인을 분리할 때는 ▲물을 이용하는 방법(스위스 워터 프로세스) ▲용매(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활용한다. 가장 대표적인 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커피콩을 물에 우려내 카페인을 추출한 뒤 우려낸 물에 있는 카페인을 활성탄소로 분리해 다시 물과 커피콩을 함께 건조한다. 그런데 분리 과정을 거친 후에도 카페인이 소량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카페인을 90% 이상 제거하면 ‘디카페인(탈카페인)’으로 표기 가능하다. 디카페인 커피를 판매하는 업체별로 카페인 함량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카페인 섭취에 주의해야 하는 경우에는 구매 전 함량을 미리 확인하는 게 좋다. 디카페인 커피 원두를 고를 때 상표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활용해 카페인을 추출하는 방식이 건강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카페인 제거뿐 아니라 ▲맥주 제조 ▲페인트 ▲자동차 세정제 ▲에어로졸 제품 등에 쓰이는 무색의 액체 화학물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물이나 이산화탄소를 사용해 카페인을 분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디카페인 커피 중 상당량이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용매로 카페인을 추출한다. 미국 산업안전보건청은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노출되면 암 발병 위험이 높아지고 심장, 간, 중추신경계, 피부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다량 섭취할 경우, 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이에 FDA는 카페인 분리 과정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잔류 기준을 0.001% 미만으로 설정했다. 이는 실제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적은 양이지만 가급적 하루에 다섯 잔 미만으로 섭취하는 등 섭취량 조절이 필요하다. 특히 수입산 커피를 마실 때 상표를 꼼꼼히 살피는 습관을 들이자.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2/2025021201836.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혈당 걱정인데 유자차 마시고 싶다면? ‘이렇게’ 하세요 (0) | 2025.02.19 |
---|---|
스크랩 술 마시기 전, ‘이것’ 먹으면 숙취 덜하다는데… 어떤 원리? (0) | 2025.02.18 |
스크랩 규현, 베트남 여행 중 음식 속 ‘이것’ 다 빼… 건강 효과는 무궁무진? (0) | 2025.02.13 |
스크랩 [소소한 건강 상식]“아메리카노는 살찔 걱정 없어”… 정말? (0) | 2025.02.13 |
스크랩 삶은 달걀, 완벽한 질감 만들려면 ‘이 방법’ 쓰세요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