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틈새에 먼지는 물론 진드기까지 기어다니는 모습이 영국 매체를 통해 보도됐다. 오염된 스마트폰은 각종 알레르기도 유발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소독해야 한다. 영국 매체 래드바이블은 최근 '침대 위에 놓은 휴대전화를 당장 치우세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소개했다. 해당 영상에선 휴대전화를 현미경으로 확대해,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생물과 오염 물질들을 확인했다. 스피커 틈새에 먼지가 쌓여있었고, 그 주위에는 먼지 진드기가 기어다녔다. 먼지 진드기는 사람 피부 각질을 먹이로 삼아 생존한다. 또 지문이 묻은 부위를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땐, 수많은 세균이 서식하고 있었다. 실제 스마트폰이 매우 더럽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휴대전화에 서식하는 박테리아 수가 변기의 10배에 달한다고 밝혔고, 영국 연구팀은 스마트폰 17%가 분변에 오염됐다고 했다. 스마트폰 액정을 그대로 얼굴에 대고 전화를 받으면, 액정에 있는 대장균·황색포도상구균 등이 여드름, 모낭염 등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레르기도 유발할 수 있다. 미국 아이오와대 공중보건학과, 보스턴 아동병원 공동 연구팀은 스마트폰에 얼마나 많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 참가자 15명의 스마트폰을 수거해 알레르기 유발 물질 농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β-D 글루칸(BDG), 박테리아 내독소(엔도톡신) 등 알레르기 유발 물질과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항원이 발견됐고, 그 수치도 높았다. BDG는 곰팡이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항원으로 기도를 자극하며, 특히 알레르기 비염을 악화시킨다. 코점막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가 이 물질을 인식해 비염을 악화한다. 내독소는 그람 음성 세균의 세포 외막 성분으로, 기도 속 염증 반응을 활성화한다. 특히 천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 항원은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의 스마트폰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됐으며, 키우지 않는 사람의 스마트폰에서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이 여러 환경에 놓이면서 항원 분자들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사람의 스마트폰에도 붙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라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스마트폰에는 알레르기 유발 인자뿐 아니라 전자파까지 나오기 때문이다. 전자파도 호흡기 질환을 악화한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이 실험 참여 그룹에 스마트폰과 같은 주파수(1.8GHz)와 세기(SAR=1W/Kg)의 전자기파에 노출한 뒤 코점막 점액 섬모의 운동 횟수를 관찰했더니, 스마트폰 전자기파에 노출된 섬모는 정상 섬모보다 11% 덜 운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점액 섬모 운동 능력이 떨어지면 외부 물질이 체내 들어오기 훨씬 쉬워져,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원래 호흡기 질환이 있던 사람이라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이 붙어있는 스마트폰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면역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흔히 소아에게 더 잘 일어나고, 성인에게서도 눈이 가렵거나 붓거나 충혈되는 결막염, 콧물, 재채기, 코막힘 등이 나타났다. 이 반응이 만성화되면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스마트폰을 소독해야 한다. 알코올 솜으로 깨끗이 닦아주는 것만으로도 알레르기 질환이 악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앞선 미국 아이오와대와 보스턴 아동병원 공동 연구팀 실험 결과, 클로로헥시딘과 세틸피리디늄이 BDG와 내독소를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벤질벤조에이트와 탄닌산이 반려동물 항원을 잘 제거했다. 그냥 알코올 소독제로 닦는 것도 아예 닦지 않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었다. 통화할 때는 스피커폰이나 이어폰 등을 활용해, 스마트폰 액정에 피부가 닿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1/25/202411250217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아야 藥]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장기간 사용된 '합성항원 방식' (0) | 2024.12.02 |
---|---|
스크랩 MSD 코로나19 치료제 '라게브리오', 내일부터 처방 연령 70세 이상으로 상향 (0) | 2024.12.01 |
스크랩 ‘이렇게’ 걷는 노인, 치매 가능성 크다 (0) | 2024.11.28 |
스크랩 “위고비·삭센다 팔아요”… 비만약 온라인 불법판매 359건 적발 (0) | 2024.11.27 |
스크랩 "손 말리다, 세균만 얻는다"… 영국 과학자, '손 건조기' 쓰지 말라 폭로 (0)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