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5508 스크랩 오늘도 못 참고 인스턴트 식품 먹었다면… ‘이 과일’로 독소 빼세요 미역의 알긴산 성분은 중금속, 농약, 발암물질 등을 빨아들여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건강을 위해 식단 관리를 하지만, 참지 못하고 인스턴트를 먹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이 많다.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인스턴트와 과도한 스트레스 역시 몸속에 독소를 쌓는다. 체내 독소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식품을 알아본다.◇미역미역의 알긴산 성분은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듯 중금속, 농약, 발암물질 등을 빨아들여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콜레스테롤과 염분을 배출해 혈액을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데도 효과적이다. 알긴산 성분은 미역 외에 다시마와 파래 등과 같은 해조류에도 많다. 미역이 없다면 다시마와 파래 등을 대체식품으로 섭취해보자. 다만 물에 너무 오래 담그거나 데쳐 요리하는 것은 피하자. 조.. 2024. 5. 9. 스크랩 “지방 분해 효과까지?”… 다이어트 중이라면 커피 대신 ‘이 음료’ 드세요 녹차의 카테킨 성분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다이어트 중에도 커피는 포기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카페인 때문에 커피를 포기하지 못하겠다면, 녹차를 마셔보자. 다이어트를 할 때 겪기 쉬운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되고, 체중 감량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녹차는 커피보다 카페인 함량이 낮다. 다이어트 할 때 반드시 충분히 섭취해야 하는 것은 수분이지만,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오히려 탈수를 유발해 순환을 방해하고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녹차의 경우 1잔(티백 1개 기준)에 15mg 정도로, 커피보다 카페인 함량이 비교적 낮다.게다가 녹차에 있는 카테킨은 매우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다이어트에 더 도움이 된다. 카테킨은 혈액 속의 포도당, 지방산, 콜레스테.. 2024. 5. 7. 스크랩 맛 달콤한데, 술 깨는 것도 돕는 '착한 과일' 4가지 아삭한 식감에 시원한 맛이 일품인 배는 아스파라긴산을 가지고 있어 체내 알코올 성분을 빨리 분해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연이어 산뜻한 날씨가 이어지며 야외에서 가벼운 음주를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다. 다음날 숙취가 걱정된다면 과일을 먹어보는 건 어떨까? 입맛을 돋우고 숙취 해소에도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과일들을 알아본다.◇배아삭한 식감에 시원한 맛이 일품인 배는 숙취 해소를 돕는다. 배는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고 있다. 아스파라긴간은 체내 알코올 성분을 빨리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 CSIRO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배는 알코올 대사가 빨리 이뤄질 수 있게 돕고, 몸이 알코올을 흡수하지 못하게 막는다. 또 숙취의 원인이 되는 독성 대사인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수치를 감소한다. 또 배는 흔히 ‘술병’이라고 부르는.. 2024. 5. 7. 스크랩 매일 ‘이 과일’ 먹으면, 혈당 조절 효과 본다 여성이 매일 아보카도 50g을 섭취하면 당뇨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여성이 매일 아보카도 50g을 섭취하면 당뇨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멕시코 국립공중보건연구소 연구팀은 국민 건강 및 영양 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2만5640명을 대상으로 아보카도 섭취와 당뇨병 유병률 사이 연관성을 알아봤다. 남성은 하루 평균 34.7g, 여성은 29.8g의 아보카도를 섭취했다. 표준 아보카도 1회 섭취량은 중간 크기의 아보카도의 3분의 1이었다.연구 결과, 아보카도를 섭취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당뇨병 위험이 11% 감소했다. 또한 이들은 인슐린 감수성이 개선돼 당화혈색소도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위험 감소는 연령, 교육 수준, 체중.. 2024. 5. 7. 스크랩 저염 소금, 정말 건강할까?… 콩팥질환자에겐 의외의 부작용이 사진=클립아트코리아소금 섭취량을 줄이지 않고, 저염 소금으로 대체하는 것은 오히려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나트륨 과다 섭취가 건강에 안 좋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실제로 나트륨을 체내 필요량보다 더 과도하게 섭취하면 뇌졸중, 고혈압, 골다공증 등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나온 대체재가 나트륨양은 줄이면서 짠맛은 유지한 '저염 소금'이다.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 소금에서 짠맛의 강도는 나트륨이 아닌 염소에 의해 정해진다. 이 원리를 이용해 저염 소금이 나왔다. 저염 소금은 염화나트륨 함량을 줄이고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등 염소 화합물 함량을 높여 제조된다. 아예 염화나트륨을 제외하고 염소 화합물만으로 구성된 저염 소금은 없는데, 다른 염소 화합물은 쓴맛을 동반하기 때문이다.얼.. 2024. 5. 7. 스크랩 포장지에 '고단백질' 적힌 식품, 믿고 먹었다간 ‘낭패’ 볼 수도 설문조사에서 사용된 이미지./사진=Foods 제공최근 '고단백', '저열량' 등 특정 영양성분의 함량을 포장지 전면에 크게 내세운 식품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런 식품을 살 때 더 영양성분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뉴저지주립대 윌리엄 K. 홀먼(William K. Hallman) 교수 연구팀은 영양표기 강조가 줄 수 있는 후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포장지에 크게 작성된 내용은 확인된 사실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표시사항별 세부표시기준'을 두고,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단백'이라는 단어를 쓰려면 식품 100g당 1일 영양성분 기준치의 20% 이상을 넘어야 하는 식이다. 다만, 홀먼 교수는 이런 강조가 다른 영양성분에는 관심을 갖.. 2024. 5. 3.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9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