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류의 장/게시판7465 무섭게 치솟는 과일·채소 물가에… 식재료 잘 고르면 돈 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최근 중동 전쟁 위기, 기후 변화 등으로 물가가 무섭게 오르고 있다. 그 중심에 채소·과일이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증권에 따르면 한국의 과일류의 상승률은 올해 1~3월 월평균 36.9%로 주요 선진국 중에서 가장 높았다. 채소류 상승률도 10.7%에 달했다. 마트나 시장에 가기 겁날 정도인데, 식재료 하나를 고르더라도 잘 고르는 법과 신선하게 보관하는 법을 알아두자.◇냉이, 감자, 고추, 대파, 부추, 브로콜리3~4월이 제철인 냉이는 뿌리가 굵은 것은 질기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먹고 남은 냉이는 물을 뿌린 키친타올로 싸서 지퍼팩에 보관하고 되도록 빨리 먹는다. 오래 두고 먹으려면 삶아서 냉동보관한다. 5~6월에 출하되는 햇감자는 맛과 영양이 풍부하다. 감자는 .. 2024. 4. 30. 불로초 찾아 헤맸던 진시황, '50세' 이른 나이에 사망한 이유 진시황 동상./사진=연합뉴스차이나(China)는 진(Chin)에서 따온 말이다. 그만큼 진나라의 위력은 엄청났다. 진나라를 세운 첫 번째 황제, '진시황'은 의지가 매우 강한 사람이었다. 자신의 의지대로 통일해 나라를 세우고, 글자와 화폐를 통일하고, 도로를 뚫었다. 하지만 '건강'만큼은 자신의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매우 지대해 40세에 이르러선 불로장생약을 전국 방방곡곡에서 찾기 시작했다. 몸에 좋다는 것이라면 전부 섭렵했다. 하지만 단 50세의 나이로, 순행 길에 나섰다가 허베이성 사구(沙丘)에서 세상을 떠났다(사기, 진시황 본기).◇진시황, 말년에 '미신'에 집착직접적인 죽음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간접적인 원인은 확실하다. '미신'이다. 진시황은 말년에 들어.. 2024. 4. 30. 부자가 오래 사는 이유… 자산 50억 이상 부자들 ‘공통된 습관’ 사진=클립아트코리아고소득자는 저소득자보다 건강하게 산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고소득자가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삶을 유지하는 기간은 저소득자보다 11년 길다는 국내 연구 결과도 있다. 최근, 부자들이 건강하게 사는 이유를 엿볼 수 있는 보고서가 발간됐다.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5일,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들을 분석한 '2024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Korean Wealth Report)'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부자들의 평균 기상 시간은 오전 6시 44분으로 하루 평균 7.3시간을 잤다. 일반 대중과 비교해 30분 덜 잤다. 잠드는 시간은 대략 오후 11시 30분으로 자정을 넘기지 않았다.미국 하버드의대 프랭크 첸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조기 사망 위험을 낮추는 좋은 수면 습관.. 2024. 4. 30. 전국민 우울감에 코로나 여파 여전… “운동하고 사람들 만나는 게 중요” 사진=클립아트코리아질병관리청이 봄철을 맞아 우울증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당부했다.질병관리청은 17개 광역자치단체, 258개 보건소, 34개 지역대학과 함께 매년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상세 분석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분석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우울감 경험률은 18년 5.0%로 최저를 기록한 이후 코로나19 유행을 겪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해 23년 7.3%였다. 감소 경향을 보이던 우울감 경험률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지속된 코로나19 유행 기간과 겹쳐 증가하고 있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나빠진 정신건강이 일상 회복 이후에도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사진=질병관리청 제공또한 대도시의 우울감 경험률이 농어촌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도시와 농촌지역의 물.. 2024. 4. 29. 스크랩 잠 몰아자려면 딱 ‘이 만큼’만 더 자야 수면리듬 안 깨져 사진=클립아트코리아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부터 5년간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병원을 찾은 ‘수면장애’ 환자가 약 110만 명으로 5년간 30% 이상 급증했다. 한국인의 수면 시간은 짧은 것으로 유명하다. 바쁜 평일에는 주말에 몰아 자는 사람도 있는데 평소 수면시간에 더해 두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게 좋다.◇적정 수면시간 지키겠다고 억지로 자면 불면증 유발인생은 30%가 수면시간이다. 수면은 낮에 쌓인 마음과 육체의 피로를 해소하고 기억 등의 인지기능을 강화하는 과정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수면의 질이 중요한 이유다.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신체 리듬의 균형이 깨져 피로가 증가하고, 낮 동안 학습장애, 안전사고, 능률저하와 기분 장애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2024. 4. 27. ‘통뼈’일수록 건강하다는 속설, 사실일까? 통뼈일수록 뼈가 더 건강하다고 보긴 어려우며 뼈의 두께나 크기보다는 골밀도가 뼈의 강도를 판단하기 중요한 지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뼈의 굵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뼈가 굵은 통뼈일수록 “뼈가 굵으니까 부러지진 않겠다”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래서 얇은 뼈보다 굵은 뼈가 더 건강하다는 속설까지 있다. 이 속설은 과연 사실인 걸까?통뼈일수록 뼈가 더 건강하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중앙대병원 정형외과 함대웅 교수는 “‘통뼈일수록 뼈가 더 단단하다’는 속설은 정확한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며 “통뼈를 일컫는 뼈의 두께나 크기보다는 골밀도가 뼈의 강도를 판단하기에 중요한 지표”라고 말했다. 즉, 골밀도가 높을수록 뼈의 강도 역시 높아져 골절 위험이 낮은 건 맞지만, 뼈의 두께가 두껍다.. 2024. 4. 26.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1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