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연인‧부부 관계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2분 만에 알아볼 수 있는 간단 테스트 방법이 공개됐다. 지난 15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은 캐나다 스톡홀름대 심리학과에서 제작한 ‘발렌타인 스케일(Valentine Scale)’이라는 테스트를 공개했다. 이 테스트로 연인‧부부 관계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감정적 친밀감, 신뢰, 갈등 해결 방법 등과 관련한 7개의 질문으로 구성돼 있다. 연구 대표자인 페르 칼브링 교수는 “연인‧부부 관계가 어떤 상황인지 빠르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며 “2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연인‧부부의 심리 상담할 때 발렌타인 스케일을 사용하기도 한다”며 “문제점에 대해 알고, 원활한 소통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테스트를 구성하는 7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연인‧부부간 협력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빈도는 얼마나 되는가? ▲상대방에게 내 고민을 편하게 언제든 털어놓을 수 있는가? ▲상대방과 의견이 맞지 않거나 갈등이 생기면 빨리 극복할 수 있는가? ▲최근 연인‧부부 관계가 좋지 않다고 생각한 적이 얼마나 되는가? ▲최근 상대방과 헤어지거나 이혼하는 것을 얼마나 자주 고려했는가? 이 5가지 질문에는 ‘언제나, 자주, 드물게, 절대’ 중 하나의 답변을 선택하면 된다. ▲상대방과 감정적으로 얼마나 가깝다고 느끼는가? 에 대한 질문에는 매우 ‘가깝다, 다소 가깝다, 조금 가깝다, 가깝지 않다’ 중 선택해 답변한다. ▲전반적으로 연인‧부부 관계에 얼마나 만족하는가? 라는 질문에는 ‘매우 만족한다, 다소 만족한다, 다소 불만족스럽다, 매우 불만족스럽다’ 중 하나의 답변을 고르면 된다. 총 21점이 만점으로 ▲0~3점 ▲4~6점 ▲7~9점 ▲10~12점 ▲13~15점 ▲16~18점▲19~21점으로 점수 결과가 나뉜다. 점수에 따라 연인‧부부 상태에 대해 진단하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법을 제시한다. ‘0~3점’은 극도로 낮은 만족도로 연인‧부부간 문제가 심한 상태다. 두 사람 간의 근본적인 갈등의 원인이 무엇인지, 각자의 갈등 해결 방법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4~6점’은 관계의 만족도는 매우 낮지만, 상대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남아 있는 상태다. 연애 초반 서로에게 매력을 느꼈던 부분이 무엇인지 되짚어 보고, 싸울 때 느꼈던 감정을 공유해야 한다. ‘7~9점’은 좋은 기억과 안 좋은 기억이 섞여 관계의 만족도가 낮은 상태다. 최근 싸움했던 원인에 대해 파악하고, 함께 할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에 관한 의견을 나눈다. ‘10~12점’은 서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관계 발전을 위해 더 노력하지 않는 상태다. 이 경우, 함께 새로운 취미‧경험 등을 하는 것이 좋다. 서로 칭찬할 부분을 매일 공유하며 관계를 이어 나가야 한다. ‘13~15점’은 잦은 갈등이 생기지만 상대방에 대해 높은 만족도가 있는 관계다. 갈등보다는 서로의 장점에 관해 이야기해야 한다. 갈등이 생겼다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기록해 두는 것도 좋다. ‘16~18점’은 서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안정적인 관계다. 이전에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활동을 함께 하거나 발전을 위해 서로를 꾸준히 지원하면 된다. ‘19~21점’은 매우 높은 만족도로 이상적인 관계다. 문제가 있는 다른 연인‧부부를 상담해도 될 정도로 좋은 상태로, 지금처럼 관계를 유지하면 된다. ‘발렌타인 스케일’ 테스트는 캐나다 스톡홀름대 심리학과 홈페이지에서 직접 해볼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8/2025021801915.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쉬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말수 적은 남성, 하루에 100단어도 안 써… 여성은? (0) | 2025.02.19 |
---|---|
스크랩 MZ들의 힐링법이라는 ‘이것’, 스트레스 낮추고 어휘력은 높인다 (0) | 2025.02.19 |
스크랩 ‘이것’ 걸치고 자면, 변기보다 더 더러운 것 침대에 부비는 셈 (0) | 2025.02.19 |
스크랩 “셀프 실험, 달걀 1000개 먹기 성공”… 몸에 생긴 ‘좋은 변화’ vs ‘나쁜 변화’, 뭐였을까? (0) | 2025.02.18 |
스크랩 “더 이상 못 먹어”… 520만 日 대형 유튜버 ‘먹방 중단’ 선언, 왜?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