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여성 김모씨는 최근 몇 년 다리가 저리고 무거운 증상을 느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 처음에는 하지 정맥류를 의심해 동네 정형외과에서 물리치료를 받거나 혈액순환 개선 보조제를 챙겨 먹었으나,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다. 결국 통증이 심해 병원을 찾았고, 정밀 검사 결과 척추관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김씨 사례처럼 하지 정맥류로 착각하기 쉬운 척추협착증은 척추의 신경 압박으로 인해 다리에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관, 즉 척추를 따라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압박되는 질환이다. 주로 노화로 인해 척추뼈와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디스크가 돌출되면서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보행 시 통증 악화 등이 나타난다. 심할 경우 걷기조차 어려운 파행증이 겪을 수 있다. 간혹 허리 통증 없이 하지 증상만 나타나하지 정맥류나 말초혈관질환과 혼동될 수 있으나, 상호 다른 특징적 증상을 갖고 있다. 하지 정맥류는 주로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하고 누우면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앉거나 몸을 앞으로 숙였을 때 통증이 줄어들고, 걸을 때 악화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 정맥류와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특징적인 증상이 있지만 환자가 직접 식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다리 저림이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신경외과 전문의를 찾아 종합적인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가 주로 시행된다.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 신경 풍선확장술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치료법은 통증과 염증을 줄이고 신경 압박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악화되거나 개선되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척추내시경을 이용한 미세침습 척추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척추내시경 수술은 피부를 최소한으로 절개하여 특수 기구를 이용해 병변 부위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 치료법은 출혈과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여 회복 기간이 짧다. 수술 후 통증과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장점이 있다. 척추내시경은 하나의 구멍으로 치료하는 단일공(단방향)과 양방향 척추내시경으로 나뉜다. 모두 고도의 기술을 요하므로 의료진의 숙련도가 중요하다. 척추내시경 수술은 기존의 개방형 수술에 비해 환자의 부담을 크게 줄이는 혁신적인 치료법이다. 특히 단일공 척추내시경은 섬세함과 정밀성이 요구되는 고난도 수술이지만, 적절히 시행되면 환자의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에 매우 효과적이다. 환자 개인의 상태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며, 초기 진단부터 수술 후 관리까지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칼럼은 참포도나무병원 척추센터 신경외과 최고 원장의 기고입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0/202502100111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관절염, 오십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팔 들 때 아픈 어깨, 대체 왜 그런 걸까? (0) | 2025.02.18 |
---|---|
스크랩 겨울 끝자락 큰 일교차… '허리디스크' 악화 주범? (0) | 2025.02.17 |
스크랩 팔 움직일 때마다 아픈데… ‘어깨 탈구’ 의심해야 할 때는? (0) | 2025.02.09 |
스크랩 아침에 특히 뻣뻣한 류마티스 관절염… 놔두면 폐·심혈관도 망가진다 (0) | 2025.02.04 |
스크랩 팔 아프고 저린데 목디스크는 아니다… 자세만 잘 잡으면 낫는 ‘이 병’ 의심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