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관절은 우리 몸의 3대 관절 중 하나로 일상생활과 주요 스포츠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용이 많은 관절인 만큼 무리하게 쓰면 다양한 질환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중 흔히 ‘어깨가 빠진다’라고 표현되는 어깨 탈구도 있다. 병원에 가지 않고 자칫 혼자 해결하다가는 상태가 더 나빠질 수 있고, 반복 재발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어깨 탈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본다. ◇어깨 ‘관절와순’ 파열되면서 발생… 테니스·야구 등이 원인 어깨 탈구란 어깨 관절의 인대와 주위 근육의 손상으로 관절 자체가 자기 자리를 이탈한 것을 말한다. 어깨 관절의 바깥쪽을 둘러쌓고 어깨를 안정화하는 조직인 ‘관절와순’이 찢어지게 되면서 최초 탈구가 발생한다. 파열된 관절와순이 잘 회복된다면 재발성 탈구를 방지할 수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김명서 교수는 “그러나 관절와순 자체가 혈액순환이 잘 안돼 자가 회복이 더딘 구조물이다 보니, 초기 치료가 부적절하면 습관성 어깨탈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어깨 탈구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운동 중 다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특히 선수 간의 충돌이 빈번한 농구나 축구 그리고 펜스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야구와 같은 운동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최근에는 스포츠 활동 인구가 늘면서 일반인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게다가 이외에도 빙판길 넘어짐, 낙상, 교통사고 등 강한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발생이 가능해 특히 겨울철 주의를 요할 수 있다. 어깨가 탈구되면 어깨가 빠졌다 다시 들어간 느낌이 든다. 이런 불안정한 느낌으로 인해 팔을 들어 올리거나,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 탈구를 제대로 치료받지 못해 불안정성이 심해지면 기지개를 켜다가도, 자다가도 탈구가 발생한다. 탈구에 대한 우려로 일상이 어려워질 수 있다. ◇습관성 탈구 반복되면 큰 수술 필요 어깨 탈구의 진단은 환자를 직접 진찰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 된다. 이후 엑스레이로 병변을 확인하고, 추가로 관절와순의 손상 정도 및 회전근개 힘줄 손상 등을 평가하기 위해 MRI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어깨탈구는 관절와순 파열 부위에 따라 유형이 다르다. 상부 관절와순이 파열돼 발생하면 ‘슬랩병변’, 하부 관절와순까지 파열되면 ‘방카르트병변’이라 한다. 슬랩병변은 어깨를 많이 쓰는 스포츠를 하다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깨 걸림, 운동할 때의 통증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반면, 빙카르트병변은 일상생활에서 누적된 피해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첫 탈구 발생 후 정확한 진단 없이, 탈구가 반복되는 경우, 습관성 탈구 또는 견관절 불안정성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슬랩병변은 대부분 약물치료와 운동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로 충분히 좋아질 수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보존적 치료가 통증의 경감에 효과가 없는 경우 관절경을 통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다. 방카르트병변은 보존적 치료에도 일상생활에 있어 탈구로 인한 불안감이 호전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김명서 교수는 “습관성 탈구가 오래돼 관절와순 자체가 자리에서 이탈해버리거나, 닳아 없어진 경우, 견갑골의 ‘오구돌기’를 이전하거나 골반 뼈를 이식하는 등의 큰 수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어깨 빠졌다고 임의로 맞추면 골절 위험 어깨탈구는 최초 발생한 경우, 빠진 어깨를 신속하게 다시 맞춰 기능을 회복시키게 된다. 이때 직접 혹은 타인의 도움으로 어깨를 다시 맞추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직접 맞추는 과정에서 회전근개 힘줄, 신경이나 혈관 등 어깨 주요 조직들이 손상될 수 있고, 특히 고령의 환자에서는 골절 또한 동반될 수 있어서이다. 어깨가 빠졌다면, 반드시 가까운 병원을 찾아 빠진 어깨를 정복하고, 이후 정확한 검사를 통해 동반된 손상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어깨탈구는 예측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서 예방이 쉽지는 않다. 그러므로 첫 탈구 이후에 재발성 탈구로 진행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김명서 교수는 “첫 탈구 이후엔 일상생활에서도 넘어지거나 공을 던지는 동작 등 재탈구가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주의해야 한다”라며 “만약, 첫 탈구 이후에 재탈구가 발생하면 습관성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아야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4/2025020402449.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관절염, 오십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겨울 끝자락 큰 일교차… '허리디스크' 악화 주범? (0) | 2025.02.17 |
---|---|
스크랩 [의학칼럼] 극심한 다리 저림·통증, 정맥류 아닌 척추관협착증? 단일공내시경 치료로 완화… (0) | 2025.02.13 |
스크랩 아침에 특히 뻣뻣한 류마티스 관절염… 놔두면 폐·심혈관도 망가진다 (0) | 2025.02.04 |
스크랩 팔 아프고 저린데 목디스크는 아니다… 자세만 잘 잡으면 낫는 ‘이 병’ 의심 (0) | 2025.02.04 |
스크랩 [의학칼럼] 종일 책상 앞에 있는 당신… '허리디스크' 주의해야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