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주변의 야간 소음이 심할수록 남성의 불임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원치않는 소리'(unwanted sound)로 정의되는 소음은 일정 수준을 넘으면 정신 건강을 해치고, 일시적·영구적 난청을 일으킨다. 최근에는 이런 소음이 저출산·조산·유산·선천성 기형 등과도 관련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민경복 교수와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2002~2005년에 건강했던 20~60세 남성 20만 명을 대상으로 8년에 걸친 추적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 남성 20만 명의 8년 치 진료기록을 분석하고,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해 환경소음을 계산했다. 조사 대상자는 소음에 노출된 정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됐다. 그 결과, 소음과 남성 불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야간에만 나타났다.
야간 소음에 가장 많이 노출된 그룹은 가장 적게 노출된 그룹보다 1.5배 더 불임 진단을 많이 받았다. 남성 불임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소득·거주지·운동·흡연·음주·혈당·비만도·대기오염 등 다른 변수를 모두 고려해도 소음에 따른 불임 위험도가 최고 1.26배까지 높아졌다.
연구팀은 주간 소음과 달리 야간 소음만 남성 불임에 영향을 미친 것이 낮에는 대부분의 사람이 직장에 있어서 집 주변 환경소음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라고 봤다. 연구팀은 또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야간 소음이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인 55dB을 넘어설 때 남성 불임 위험이 1.14배 높아진다는 분석을 발표했다. 55dB의 소음은 누군가가 옆에서 보통의 목소리로 계속 얘기하고 있는 정도다.
민경복 교수는 "사람이 소음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몸 안에서 스트레스 반응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내분비 시스템도 영향을 받아 남성 호르몬과 정자 생성이 줄어들 수 있다"며 "환경소음은 모든 지역의 모든 연령대가 겪고 있는 만큼 남성 불임을 예방하기 위한 환경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 관련 국제학술지인 '환경 오염(Environmental Pollution)' 최근호에 실렸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25/2017042501029.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콘돔’ 사용설명서 (0) | 2017.04.30 |
---|---|
[스크랩] 다양한 임플란트 재료, 어떤 걸 써야 할까? (0) | 2017.04.30 |
[스크랩] `운동만 하면 두통이…` 이유가 뭘까? (0) | 2017.04.26 |
[스크랩] 자꾸 어깨 굽는 직장인들 `이렇게` 스트레칭 하세요 (0) | 2017.04.26 |
[스크랩] 60세 이상 10명 중 5명 겪는 난청. 우울증·치매 위험 높인다 (0) | 2017.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