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이나 육아 등 사정으로 일을 잠시 쉬거나 그만두는 여성들의 경우, 일을 쉬고 난 후 다시 직업 현장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게 현실인데요, 여성가족부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을 지원하기 위해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이하 '새일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28만 명의 여성이 새일센터를 이용하였으며 이 중 14만 명이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올해는 특히 경력단절여성들이 시대흐름에 발맞춰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고, 양질의 일자리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부가가치 직종 훈련과정이 새일센터)에 처음 도입됩니다.
‘경력단절여성 전문인력 양성훈련’은 올해 시범 사업으로 전국 23개 새일센터에서 슈즈디자이너(서울 서부새일), 문화콘텐츠 해외수출 및 교류 전문가(서울 동작새일), 제약 품질관리 전문인력 양성(충북산단형새일) 등 총 25개 과정 개설됩니다.
과정구분 | 과정수 | 내용 | |
경력단절여성 전문인력 양성 훈련 (시범 사업) | 25 | 고숙련 또는 고부가가치 직종 (IT, 관세, 콘텐츠, 디자인, 문화예술 경영, 지식정보 등)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과정 | |
일반 | 일반 | 365 | 사무관리, 서비스분야, 강사양성분야 등 여성이 선호하고 취업이 용이한 분야의 인력양성 과정 |
기업맞춤 | 136 | 일반과정 중 기업과 연계하여 훈련과정을 설계, 운영(OJT) 하여 취업연계가 용이한 과정 | |
전문기술 | 전문기술 | 53 | 새일센터 인프라 부족으로 실시가 어려운 IT?기술?제조 관련 전문기술과정 |
기업맞춤 | 22 | 전문기술과정 중 기업과 연계하여 교육과정 설계, 운영(OJT) 하여 취업연계가 용이한 과정 | |
창업 | 27 | 창업준비단계, 운영 및 창업 성공을 위한 전반적인 창업교육 과정 | |
취업 취약 계층 | 결혼이민 | 40 | 결혼이민여성특성, 선호 및 인력수요 등을 고려한 적합 직종의 인력양성 과정 |
장애 | 5 | 장애여성에게 적합하고 취업이 유망한 분야의 인력양성 과정 | |
이민 | 1 | 북한이탈여성의 특성, 선호 및 인력수요 등을 고려한 적합직종의 인력양성 과정 | |
NCS 인증 과정 | 2 | 국가직무표준(NCS) 능력단위 및 훈련기준에 따라 편성한 NCS 인증 과정 | |
합계 | 676 |
또, 올해는 지역 산업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교육훈련을 위해 전문기술과정과 기업맞춤형 과정도 더욱 확대하였는데요. 이중 전문기술 과정은 ‘조선선박전기결선원 양성’, ‘3D프린팅 설계 모델링’, ‘국제통상전문가 양성’, ‘연구개발(R&D)관리 실무자 양성’ 등 75개 과정입니다.
기업맞춤형 과정은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무 능력을 교육하고 취업 연계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오피스설계전문가 양성 과정‘, ‘스크래치코딩전문가 과정’, ‘세무사무원 과정’, ’주택행정관리실무원‘ 등 158개 과정이 개설되죠. 이 밖에도 여성이 선호하는 사무관리(회계사무원 등) 및 사회서비스(교육·복지 등) 직종과 오픈마켓창업과정 등의 창업과정, 장애여성, 결혼이민여성 및 북한이탈여성 등을 위한 별도 과정도 운영될 예정입니다.
각 과정별 상세 일정, 신청 기간은 여성가족부 홈페이지(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새일센터 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은 해당 지역 새일센터(대표번호 1544-1199)를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새일센터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취업상담 및 정보 제공, 직업교육훈련, 취업연계, 취업후 사후관리 등을 지원하며, 전국에 147개소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출처 : 정책공감 -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글쓴이 : 정책공감 원글보기
메모 :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식약처, 불량식품 적발 위해 식품원료 진위 판별법 개발해 (0) | 2016.03.13 |
---|---|
[스크랩] 119로 이송된 환자, 감염병 진단받으면 국민안전처에 통보 (0) | 2016.03.13 |
[스크랩] 황사 대처 방법, 물 많이 마시고 렌즈는 빼두세요 (0) | 2016.03.09 |
[스크랩] 조개 먹고 팔에 마비가? 식약처, 봄철 패류독소주의보 (0) | 2016.03.07 |
[스크랩] 인플루엔자 유사증상환자 2주째 감소…올바른 손 씻기 실천해 유행 막아야 (0) | 2016.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