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면서 국내외로 여행을 가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설렌 마음에 여행지 음식을 무턱대고 먹으면 식중독으로 배탈이 나기도 한다. 먹었을 때 식중독에 걸리기 쉬운 음식과, 식중독 예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식중독은 음식이 세균·독소·기생충 등의 유해 물질에 오염이 된 음식을 먹을 경우 생기는 질환이다. 식중독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은 후, 빠르면 1시간 늦으면 72시간 이내에 구토·설사·복통·오한 등이 나타난다. 식중독은 특히 여름철 8월에 기승을 부리는데, 세균·독소 등은 섭씨 35~36도에서 가장 빠르게 번식하기 때문. 따라서 여름철 가장 더운 시기이자 휴가철인 요즘 더욱 조심해야 한다.
김밥이나 샌드위치처럼 다양한 재료가 들어간 음식은 식중독 위험이 높다. 우선 만드는 과정에서 손에 있는 균이 옮겨가기 쉽고, 재료 중 어느 하나만 상해도 전체가 오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든 지 2~3시간이 지난 김밥과 샌드위치는 버리고, 냉장 보관하더라도 12시간이 지나면 먹지 말아야 한다.
해산물 역시 주의해야 하는 음식이다. 특히, 키조개·낙지·꽃게 등의 어패류는 비브리오균에 노출되기 쉬운데, 날것이나 덜 익힌 경우 비브리오균이 죽지 않아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어패류는 수돗물로 2~3회 깨끗이 씻고, 칼과 도마 등 조리기구는 열탕 소독하는 등 위생상태에 더 신경 써야 한다.
한편, 상한 음식을 끓이면 식중독 위험이 없다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식중독은 세균 자체가 아니라 세균의 분비물이 일으키는 경우도 많아 끓인다고 해도 안전하지 않다. 따라서 이미 상한 음식이라면 과감히 버리는 게 좋다. 음식물 섭취에 조심했어도 배탈이 났다면, 수분과 전해질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구토나 설사가 멎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발열·혈변·발진 등이 계속 일어난다면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04/2015080402770.html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더운 여름에 필수품! `모기기피제` 직접 만들기!! (0) | 2015.08.07 |
---|---|
[스크랩] 피서지 쓰레기 함부로 버리지 마세요 (0) | 2015.08.07 |
[스크랩] 휴가지서 신을 신발, 몸 상태 따라 제대로 고르자 (0) | 2015.08.05 |
[스크랩] 올여름 `엄마표 아이스크림`으로 무더위 타파! (0) | 2015.08.05 |
[스크랩] 7월의 마지막 날 농촌 풍경입니다! (0) | 201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