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신경성 실신 예방법이 네티즌의 관심을 끌고 있다. 실신의 절반 정도가 미주신경의 오작동으로 발생하는 미주신경성 실신이다. 미주신경(부교감신경)은 우리 신체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심장과 모세혈관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심박수와 혈압을 내린다. 그런데, 미주신경이 과도하게 작동하면 심박수가 평소의 절반 이하가 되거나, 혈액이 뇌까지 충분히 닿지 않아 의식을 잃게되는데, 이것이 바로 미주신경성 실신이다. 오래 서 있거나, 심한 운동을 한 후, 대·소변을 오래 참는 중 갑자기 정신을 잃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 실신한 남성을 여성이 살피고 있다/사진 출처=조선일보 DB
미주신경성 실신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선, 전조 증상이 있을 때 바로 눕거나 앉아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 증상은 손떨림, 어지럼증, 메슥거림이다. 이때 쪼그려 앉아 다리를 꼬고, 양손 주먹을 서로 밀어내는 동작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일단 실신을 하면 단순한 미주신경성 실신인지, 다른 치명적인 원인이 있는지를 반드시 진찰받아야 한다. 미주신경성 실신 여부는 기립경사도검사로 알아본다. 특수 침대에 몸을 고정한 뒤 침대를 0도와 70도로 반복해 움직이면서 심장박동·혈압 변화를 본다. 침대의 각도가 변한 뒤 10~15분 후 혈압이나 심장박동이 떨어지면 미주신경성 실신이다.
미주신경성 실신을 예방하려면, 평소 매일 30분간 걷기 같은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카페인이 많이 든 커피,차, 알코올이 든 술은 피해야 한다. 이러한 음식들은 교감신경을 자극하는데, 혈압을 올리고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는 교감신경이 심하게 흥분하면 미주신경은 이를 억누르기 위해 평소보다 과도한 작용을 하다가 오작동이 잘 생기기 때문이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14/2015071401795.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름철 불쾌지수 올리는 입냄새, 원인은? (0) | 2015.07.17 |
---|---|
[스크랩] 낮잠, 기억력 향상시키고 집중력 높여 (0) | 2015.07.17 |
속쓰림이 가장 심한 위(胃)촉즉발의 순간은? (0) | 2015.07.16 |
[스크랩] 쉽게 할 수 있는 `건강 TIP 3가지` (0) | 2015.07.14 |
[스크랩] 햇빛화상 때문에 물집 생겼을 때, 병원 가야할까? (0) | 201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