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지수는 날씨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기온과 습도가 모두 높은 여름철에는 불쾌지수도 높아진다. 여름철 사람들을 불쾌하게 만드는 원인은 또 있다. 바로 냄새다.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은 습하다 보니 냄새도 잘 퍼진다. 특히나 입냄새 등 체취(體臭)가 고약해 고민하는 사람도 많다. 입냄새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 입냄새로 괴로워하는 여성/사진=조선일보 DB
먼저 입에 침이 부족하면 냄새가 난다. 침은 입안에서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을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침이 부족하면 각종 이물질들이 잘 씻기지 못해 입 속에 쌓이면서 냄새가 날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입냄새가 심해지는 원인도 노화로 침의 분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침이 잘 나오지 않아 입냄새가 난다면, 물을 자주 마시거나 껌을 씹어 침 분비를 원활하게 해 주면 도움이 된다. 수분이 많은 음식을 먹어도 좋다. 오이나, 당근, 샐러리, 토마토 등은 수분이 풍부해 침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강에 문제가 있을 때도 냄새가 난다. 충치가 있거나 치아 사이에 치석이 있을 때, 혀에 설태가 많이 쌓였을 때 등이다. 따라서 냄새가 심하다면 치과에서 충치나 잇몸 질환이 없는지 한 번쯤 검사하는 게 좋다. 치석이 있다면 스케일링을 받아 치석을 제거하면 도움이 된다. 강북다인치과 최헌주 원장은 "치석은 음식을 먹을 때 생기는 찌꺼기와 침, 구강 속 세균이 모인 것이라 냄새가 심하게 난다"며 "스케일링은 6개월에 한 번씩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오래된 치아 속 보철물이 원인이 될 때도 있다. 최헌주 원장은 “보철물을 평균수명보다 오래 쓰게 되면 자연치아와의 사이에 미세한 틈이 생기는데, 이곳이 세균의 좋은 서식지가 된다”고 설명했다. 세균이 많이 모일수록 냄새가 난다.
심한 다이어트도 입 냄새를 유발한다. 다이어트로 에너지원인 당질이 고갈되면, 몸에 저장된 지방을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지방에서 분해된 케톤체가 에너지원으로 대신 사용되면서 입에서 단내가 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7/15/2015071502484.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천연방충제 만들기, 화학성분 없어 `안심` (0) | 2015.07.21 |
---|---|
[스크랩] 베란다 곰팡이 제거, `숯` 이용하면 효과적 (0) | 2015.07.17 |
[스크랩] 낮잠, 기억력 향상시키고 집중력 높여 (0) | 2015.07.17 |
[스크랩] 미주신경성 실신 예방법, 전조 증상 생기면 바로 누워야 (0) | 2015.07.16 |
속쓰림이 가장 심한 위(胃)촉즉발의 순간은? (0) | 201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