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음식&요리

[스크랩] 오늘은 삼월삼짇날...화전(花煎)놀이가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5. 4. 22.

 

긴 겨울이 지나가고 봄이 시작되면서 개나리 진달래가 고운 자태를 뽐낼 때 즈음이면

꼭 거치는 행사가 있으니 그것이 바로 화전(花煎)놀이랍니다~

 

진달래꽃이 피면 화전을 해 먹으면 좋겠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 텐데요.
우리 어머니들께서는 해마다 이맘때면 고운 화전을 만들어 화전놀이를 하셨지요.

지금은 노모가 되어 혼자 힘으로는 꽃을 딸 수도 화전을 만들 수도 없는 어머니를 위하여

날씨 좋은 봄날 화전(花煎)놀이 계획하였답니다.

 

 

오늘은 삼월삼짇날(음력3월3일)... 진달래 화전 만들기 보여 드릴게요~
화전은 눈으로 먹고 입으로 또 한번 먹는 고운 음식입니다.

원래 ‘화전(花煎)’은 꽃전 곧 꽃을 붙이어 부친 부꾸미로 차전병의 하나인데, 진달래꽃이 펼 때

그 꽃을 부치거나 떡에 넣거나 하여 여럿이 모여 먹는 놀이라는 데서 그런 명칭이 생긴 것이라 합니다.


봄꽃의 대명사로 불리는 진달래는 우리나라 산 곳곳에 분홍빛 진달래가 많이 피어 있는데

날씨가 맑은 날을 택하여 먼저 고운 진달래꽃을 따로 갔었답니다.

 

 

다행히 저는 농장 가까운 곳에 진달래가 있어 쉽게 진달래를 딸 수가 있었습니다.

 

 

채취한 진달래꽃은 수술을 제거해 주는 작업을 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씻어줍니다.


이제 진달래 화전 만들기를 시작합니다.
재료 : 찹쌀가루 200g, 소금 작은 술, 꿀 100g, 진달래, 식용유

 

 

찹쌀가루는 찹쌀을 물어 불려 방앗간에서 갈았답니다.

이때 소금을 조금 넣었기 때문에 저는 소금은 따로 넣지를 않았습니다.
찹쌀가루는 채에 한번 내린 후 따뜻한 물로 익반죽을 합니다.

 

 

새알 크기로 떼어낸 후 5cm 크기로 둥글게 만들어 놓습니다

 

 

팬을 달군 후 준비된 반죽을 얹어 뒤집어서 익힌 다음 진달래를 얹어 구워내면 된답니다. ㅎ

구워진 진달래 화전을 접시에 담고 꿀을 뿌려 주면 완성~

 

 

빛깔 곱고 달달한 맛있는 진달래 화전을 맛보실 수가 있답니다.

 

 

분홍빛 진달래꽃이 금방이라도 바람결에 흔들리는 것 같이 보여요. ^^

 

 

날씨가 무척이나 맑은 봄날 엄마와 언니와 함께 셋이서 화전놀이를 떠났답니다.
비록 차 안에서 구경하는 진달래와 벚꽃들이지만 마냥 행복해하시는 우리 어머니~

 

아직도 제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는 화전계(花煎契)가 존속해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제 어머니의 화전놀이의 추억을 알 수가 있는 것이고요.

 

 

야외의 공기 좋은 정자에 자리를 잡고 준비해온 화전을 펼쳤더니 엄마의 입가엔 함박꽃이 폈습니다.

 

엄마 젊은 시절처럼 밖에서 불 피우고 진달래 화전 지져 먹으면

더 맛났겠지만 요즈음은 밖에서는 무조건 불조심~~ ㅎㅎㅎ
그래서 집에서 화전을 지져서 왔더니 많이 뭉개진듯해요.

 

 

호박전에도 진달래제비꽃을 넣어보았습니다.

시 호박전도 봄봄 하는 것 같습니다.

 

 

요즈음 영양 듬뿍인 쑥전도 조금 했답니다.
쑥은 몸은 따뜻하게 해주고 여성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식품이라 하니 꼭 먹어야 하겠지요 ㅎㅎ


말없이 마냥 좋아하시는 엄마를 보니 ‘참~ 잘왔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딸의 입가에도 진달래꽃 같은 웃음꽃이 피었습니다.

 

 

진작 화전놀이를 잘 다녀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바로 삼월 삼짇날인데요.

우리 고운 님들도 맑은 봄날 고운 꽃전으로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화전놀이 계획해 보세요. ^^

 

 

  |  |  |  |  |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과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희망의 새시대를 만들어가는 농촌진흥청 -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