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내가 먹는 삼겹살, 어디서 왔을까? `돼지고기 이력제`가 시행됩니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4. 12. 10.



여러분은 ‘쇠고기 이력제’를 잘 활용하고 계신가요? ‘쇠고기 이력제’란 소의 출생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시행된 제도인데요. 소고기를 구입할 때 부착된 12자리의 고유번호를 쇠고기 이력제 홈페이지(www.mtrace.go.kr)나 안심장보기 어플을 이용해 내가 구입한 쇠고기가 어떤 과정을 거쳐 생산, 가공되었는지 알 수 있답니다.


소비자의 안전한 밥상을 위한 훌륭한 제도이지만 현재까지는 소고기이력제만 시행되어 왔습니다.  2014년 12월 28일부터 돼지고기 이력제가 시행된다고 합니다. 내가 먹게 될 돼지고기의 이동경로를 한눈에 볼 수 있어, 더욱 안심하고 고기를 살 수 있겠죠? 오늘은 돼지고기 이력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돼지고기 이력제'란?


▲ 돼지고기 이력제 체계도


‘돼지고기 이력제’는 쇠고기 이력제와 같이 돼지와 돼지고기의 거래단계별 정보를 기록·관리하여,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동경로를 역추적하여 신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데요. 소비자는 이 모든 이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돼지고기를 구입할 수 있죠. 즉, 돼지 및 돼지고기의 유통의 투명성과 거래의 공정성을 높이고, 원산지 허위표시나 둔갑판매 등이 방지되며, 판매되는 돼지고기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게 됩니다.



돼지고기 이력제는 왜 시행되나요?


그렇다면 ‘돼지고기 이력제’가 시행된 이유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양돈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인데요. 최근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고 있는 구제역으로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걱정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돼지고기 이력제를 통해 방역의 효율성을 높여 국내 양돈산업을 보호하고자 합니다. 


다음으로는 소비자의 불신을 해소하고자 함인데요. 구제역이 발생하면 소비자들은 안전한 돼지고기를 확인할 수 없어 돼지고기 소비 침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데요. 돼지고기 이력제를 이용하면 내가 구입하는 돼지고기가 구제역 백신접종을 한 안전한 고기인지 확인 할 수 있어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죠. 


또, 전국의 돼지고기를 감독할 수 있게 되어 돼지 수급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력시스템에 등록된 기록사항을 통해, 매년 수급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돈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죠.



돼지고기 이력제의 기대 효과


▲ 돼지고기 이력제의 기대효과 (출처: 돼지고기 이력제 홈페이지)


이렇게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시행되는 ‘돼지고기 이력제’!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첫째, 현장 방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악성 가축전염병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어떤 지역이 위험한지 신속한 추적 및 조치가 가능하여 현장 방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둘째,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어디서 생산된 돼기고기인지, 올바른 유통 경로를 통해서 공급되는 것인지 확인할 수 있어, 원산지 허위표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력정보를 인터넷, 핸드폰 등으로 손쉽게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돼지고기를 구입할 수 있죠.

 

셋째, 국내 양돈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협통, 사육, 위생, 방역 정보 등을 농장식별번호 중심으로 관리하여, 국내산 돼지고기와 수입 돼지고기의 차별화로 국내 양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돼지고기 이력제 조회 방법


지금부터는 구입한 돼지고기의 이력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홈페이지를 통한 돼지고기 이력 조회 방법 (출처: 돼지고기 이력제 홈페이지)


먼제 돼지고기 이력제 홈페이지(http://pig.mtrace.go.kr)를 활용하는 방법인데요. 사이트에 접속하여 우측 상단에 위치한 ‘돼지고기 이력번호 정보조회’에 12자리의 이력번호를 입력해 수제요. 그럼, 사육정보, 도축정보, 가공정보, 브랜드정보 등의 이력정보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폰을 이용한 돼지고기 이력 조회방법



두 번째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안드로이드의 경우 ‘돼지고기 이력정보 앱’, IOS의 경우 ‘안심장보기 앱’을 다운받아 이력정보번호를 입력하면 돼지고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쇠고기 이력제를 통해 본 개선 사항


이처럼 쇠고기 이력제와 돼지고기 이력제 모두 고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만, 두 제도에는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다. 현제 시행 중인 쇠고기이력제는 모든 개체수별로 이력번호를 부여하지만, 돼지고기 이력제는 농가별로 이력번호를 부여하는 ‘개체군별 이력추적제’입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쇠고기 이력제의 활용도는 약 11%로, 제도를 모르거나 이용하지 않는 소비자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력 정보 이외에도 항생제 사용여부나 농가의 각종 인증제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면 더 높은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014년 12월 28일부터 시행되는 ‘돼지고기 이력제’. 완벽한 정책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분명 보완점이 존재하겠지만, 우리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수정사항을 제시한다면 보다 빠르게 정착되겠죠? 한국 양돈산업의 경쟁력 상승과 더불어 우리 소비자들은 안심하고 깨끗한 돼지고기를 구매하고 즐길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여러분 모두 쇠고기뿐만 아니라 돼지고기를 구입할 때도 꼭 이력번호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새농이의 농축산식품 이야기
글쓴이 : 새농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