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식품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4. 11. 30.

?




과자를 먹다가 상품에 적힌 성분함량표시 본 적 있나요? 있는 건 알았지만, 따로 찾아본 적은 없다고요? 설마 한 번도 보지 못했다는 분은 없으시죠? 성분함량표기는 보통 제품 뒷면에 적혀있어요.   

 

 


?


?

 

물론 과자니까, 밀가루인 소맥분이 가장 많이 보이네요. 예로 든 두 제품 모두 미국산 밀가루가 사용되었어요. 쌀가루, 전분, 다시마, 마요네즈, 계란..이런 익숙한 단어들도 있지만, 미강유, 정제팜올레인유, L-글루타민산나트륨, 소르빈산칼륨 등은 익숙하지 않은데요. 이름만 봐서는 어떤 성분인지, 몸에 유해한지 괜찮은 건지 알기 어렵습니다. 오늘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 식품첨가물(food additives)이란 식품을 가공하고 조리할 때 식품의 품질을 유지 또는 개선시키거나, 맛을 향상시키고 색을 유지하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식품 본래의 성분 이외에 첨가하는 물질을 뜻합니다.

 

? 

식품첨가물의 역사


 

옛날부터 사람들은 동ㆍ식물에서 얻은 천연색소나 천연향료 등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해왔습니다. 두유에 응고제를 첨가해 두부를 만들고, 소석회로 한천을 응고시켜 곤약을 만드는 방법은 중국에서 불교와 함께 전래된 것으로 보아 식품첨가물은 천년 이상 사용됐던 것으로 보입니다. 1900년대 산업혁명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로 화학적합성품이 개발되었고 이중 전문가들이 안전하다고 인정된 것들이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기 시작해 현재 많은 식품에 첨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1월 20일 식품위생법이 제정·공포됨과 동시에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을 제정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는데요. 같은 해 식품위생법시행령 제정에 따라 계피알데히드 등 217품목의 식품첨가물이 최초로 지정되었고, 4년 후인 1966년 3월 23일 보건사회부령 제175호에 따라 40품목의 기준규격이 마련되었습니다.

 

현재까지 110여 차례에 걸쳐 매년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준규격을 국제기준과의 조화 및 식품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개정하고 있습니다. 2014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정된 식품첨가물은 화학적 합성품 403개와 천연첨가물 196개 등 총 599개라고 하네요.

?

[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의 필요성


 

 


▲ 라면봉지에 표시된 식품첨가물

 

 

식품첨가물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1. 식품이 변하거나 상하는 것을 막아 줍니다. 

 

2. 식품의 품질을 유지시키거나 향상시킵니다.
예1) 유화제: 기름이나 물처럼 식품에서 혼합될 수 없는 두 종류의 액체가 분리되지 않고 잘 섞이도록 해주는 식품첨가물로, 아이스크림에 사용되는 레시틴이 대표적입니다. 

예2) 영양강화제: 식품에 부족하거나 들어있지 않은 영양소를 첨가하면 식품의 영양가가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우유에는 비타민 D, 마가린에 비타민 A, 주스에 비타민 C를 첨가하여 영양을 향상시킵니다. 시리얼에는 사용되는 각종 영양소들도 모두 식품첨가물입니다.

 

3. 식품의 조직감 부여 및 형태 유지 등에 필요합니다.

 

4. 식품의 모양, 맛, 냄새 등을 좋게 해줍니다. 

 

 

 

식품첨가물 분류방법


 

식품첨가물의 분류는 국가별로 많은 차이가 있는데요.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에서는 식품첨가물의 종류를 23종류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식품첨가물을 소개할게요.

 



 

 

 

식품첨가물을 매일 매일 먹어도 괜찮을까?


 

1. 화학조미료(MSG)는 몸에 해롭다?
L-글루타민산나트륨이 정식 명칭인 MSG는 199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공동으로 연구 조사한 결과, 평생 먹어도 안전한 식품첨가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L-글루타민산나트륨은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원당을 원재료로 사용하는데요. 미생물이 사탕수수 원당을 영양분으로 글루타민산을 만들어내고 이후 정제와 결정화 과정을 거친 후 글루타민산이 물에 잘 녹을 수 있도록 나트륨을 붙이면 L-글루타민산나트륨이 되는 것이죠. 글루타민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가지 아미노산 중 한가지로, 모유나 우유, 치즈 등의 유제품과 육류, 감자 완두콩, 토마토, 옥수수 등 우리 주변 자연식품에 들어가 있는 성분입니다.

 

 

2. 다른 식품첨가물도 과연 안전할까?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엄격한 평가과정을 거쳐 안전하다고 입증된 것만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착색료, 보존료, 감미료를 포함해 가공식품에 들어가는 식품첨가물을 허가받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엄격한 지침에 따라 그 물질이 식품첨가물로서 효과가 있는지, 암이나 기타 질병 등을 유발하지 않는지 등 우리 몸에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국제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에서는 사람이 어떤 물질을 일생동안 매일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양인 1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을 설정했습니다. 1일섭취허용량은 동물실험에서 유해한 작용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양인 최대무독성량을 구한 다음, 동물과 사람간의 차이를 고려해 100분의 1수준으로 안전계수로 나눠 결정해요. 따라서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은 평생 먹어도 전혀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양인 1일섭취허용량보다 훨씬 적은 안전한 양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아요.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3. 얼마나 먹어야 1일섭취허용량이 될까?

 

1) 어린이 보존료 & 어린이 인공감미료

보존료가 함유된 식품을 하루에 얼마나 먹어야 1일섭취허용량이 되는지 볼까요?

기준은 10세 어린이 평균체중 38kg입니다.

 

<어린이 보존료>



 

 

햄에 들어 있는 소르빈산 식품첨가물을 먼저 보면요. 60g 햄조각을 먹는다고 했을 때 51조각을 먹어야 어린이 1일섭취허용량(ADI)에 도달합니다. 과실음료에 첨가된 안식향산은 200ml로 3병을 먹어야 ADI에 도달해요.

인공감미료도 같은 방식으로 보면 됩니다.


<어린이 인공감미료> 



 

?

? 

2) 성인 보존료 & 성인 인공감미료

성인은 아무래도 어린이보다 먹을 수 있는 양이 더 많겠죠?

 

<성인 보존료>



 


<성인 인공감미료> 



 

 

 즉,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양보다 상당히 많은 양을 먹어야 1일섭취허용량에 도달한다는 것입니다.

 



 

 

 

식품첨가물 어떻게 줄일까?


 

식품첨가물이 몸에 나쁘다고 할 수 없지만 과도하게 많은 양을 섭취해도 된다는 것은 아니에요.

그렇다면 일상생활에서 식품첨가물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식재료를 조리하기 전에 약간의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면 된답니다.

 

1. 뜨거운 물로 데치기
발색제로 쓰이는 아질산나트륨은 햄, 소시지에 많이 들어있는데요. 요리하기 전 햄과 소시지에 칼집을 내고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치면 첨가물을 줄일 수 있어요. 어묵에는 보존료인 소르빈산칼륨이 첨가돼 있는데 이것 역시 열에 약하므로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친 후 조리하면 좋아요. 

 

2. 찬 물에 헹구기
응고제, 소포제가 들어있는 물에 담겨있는 두부를 그대로 요리하시나요?

이제는 찬물에 여러 번 헹군 후에 요리해보세요. 남은 두부도 찬물에 담가 보관하는 것이 좋아요.

 

장기 보존을 위해 산화방지제가 들어 있는 통조림 식품은 흐르는 물에 헹구기만 해도 대부분 수용성이라 씻겨 나간다고 해요. 마지막으로 단무지는 새콤달콤한 맛을 살리기 위해 사카린나트륨, 빙초산 등이 사용되는데요. 찬물에 5분 정도 담가뒀다가 섭취하면 대부분의 첨가물이 제거된다고 합니다. 

 

3. 살짝 굽기
유통기한이 긴 식빵은 그만큼 방부제가 많이 들어있는데요. 프라이팬과 오븐에서 살짝 굽거나 전자레인지에서 데우면 방부제와 젖산칼륨을 줄일 수 있다고 해요. 

 

 

 

[식품첨가물 정보 사이트]

?
# 식품첨가물 정보방(www.mfds.go.kr/fa)
- 식품첨가물 Q&A, 품목별 기본정보, 식품첨가물 국내외 규격 등 관련 정보 제공

 

#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www.foodnara.go.kr/foodaddy)
- 식품첨가물의 용도, 안정성. 특히 어린이들이 동영상이나 퀴즈를 통해 식품첨가물을 학습할 수 있는 정보 제공. 

 

 

 

[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 바로알기 사이트]?

 

 



 

 

 

출처 : 정책공감 -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글쓴이 : 정책공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