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몸 전체의 균형의 측면에서 바라보면서 환자 개개인의 체질을 고려해 맞춤 진료를 한다. 병을 진단할 때 정상범위를 구체적인 수치로 정해놓고 이를 넘어가면 '질병'으로 판단하는 서양의학의 관점에서 보면 과학적이거나 객관적이지 않다. 현재, 정상과 이상의 이분법적인 기준으로 진료하는 현대의학의 한계를 동양의학과 대체의학으로 보완하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적지 않다. 국내에서도 한의학을 과학화, 객관화하는 성과가 나오고 있다.
진단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기가 개발됐다. 세계 최초의 진맥로봇이 2005년에 국내에서 개발돼 사용 중이다. 한의사들이 진맥을 할 때 검지·중지·약지의 세손가락으로 짚는 촌, 관, 척의 자리를 센서가 눌러 맥을 측정한다. 혀의 색깔, 설태 등을 카메라로 촬영해 병을 진단하는 디지털설진기, 얼굴 이목구비의 생김새, 배치, 안색 등을 바탕으로 사상체질을 판독하는 안면진단기, 피부의 거칠기나 탄력, 두께 등을 파악해 사상체질별로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피부진단기 등도 개발돼 있다.
한약재의 과학화도 활발하다. 전통 한약재의 성분을 규격화,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며, 약재를 끓여 만드는 첩약을 과립형이나 트로키형(사탕처럼 녹여 먹는 형태)으로 만들어 표준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정부가 설립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방의 과학화·표준화·세계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연구원은 그 동안 미병의 진단 기준 개발, 사상체질을 기반으로 한 진단 치료기 개발, 항암 한약 연구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또, 미국 하버드대 MGH병원 바이오메디컬이미징센터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한의학 영상연구를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많은 외국 환자가 한방 치료를 받으러 우리나라를 찾는 등,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한의학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다.
/ 강경훈 헬스조선 기자
'일반 건강상식 > 한방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약으로 염증 잡고 뼈·신경 강화 (0) | 2014.04.08 |
---|---|
[스크랩] "비수술 허리치료법 과학화해 국내외 보급할 것" (0) | 2014.04.08 |
[스크랩] 척추질환, 수술 없이 `내 허리의 힘` 되살려 치료한다 (0) | 2014.04.08 |
법원 “한의사, 청력·안압측정기 사용 자격 있어” (0) | 2014.04.04 |
[스크랩] 사상체질별로 본 춘곤증 대처법 (0) | 201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