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췌장암은 치료가 어렵기로 악명이 높죠.
암 세포에 유난히 돌연변이가 많이 생기는 것도 한 원인인데,
기존의 항암제로도 듣지 않던 돌연변이 단백질의 억제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습니다. 서현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가운데 하나인
'라스'입니다.
평소에는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필수 단백질입니다.
하지만 돌연변이가 생기면 잘못된 신호를 보내
끊임없이 암 조직을 만듭니다.
문제는 일단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라스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방법이 없다는 겁니다.
대장암 환자의 30~50%, 췌장암 환자의 90%에서는
라스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발생합니다.
인터뷰: 송시영 교수 /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그 돌연변이를 차단하는 약제가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잘 안 됐다 하는 얘기는
췌장암 치료가 표적은 분명하지만,
역시 치료가 힘든 난치암이구나…"
국내 연구진이 이 단백질의 분해 방법을
세계 처음으로 찾아냈습니다.
암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윈트' 신호를
억제하는 효소 가운데 하나를 활성화시켰습니다.
이 효소는 라스 단백질이 인산의 성질을
띠도록 바꿔, 단백질 분해 물질과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되면 돌연변이 라스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분해돼 사라집니다.
인터뷰: 최강열 교수 / 연세대 생명공학과
"라스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거나 간접적으로
관련돼 있는 암을 억제하는 데 아주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는 어떤
단초를 제공하지 않았나…"
이번 연구는 세포신호전달분야의 권위지
사이언스 시그널링 내일 자에 소개됩니다.
EBS 뉴스, 서현아입니다.
췌장암은 치료가 어렵기로 악명이 높죠.
암 세포에 유난히 돌연변이가 많이 생기는 것도 한 원인인데,
기존의 항암제로도 듣지 않던 돌연변이 단백질의 억제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습니다. 서현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가운데 하나인
'라스'입니다.
평소에는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필수 단백질입니다.
하지만 돌연변이가 생기면 잘못된 신호를 보내
끊임없이 암 조직을 만듭니다.
문제는 일단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라스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할 방법이 없다는 겁니다.
대장암 환자의 30~50%, 췌장암 환자의 90%에서는
라스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발생합니다.
인터뷰: 송시영 교수 /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그 돌연변이를 차단하는 약제가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잘 안 됐다 하는 얘기는
췌장암 치료가 표적은 분명하지만,
역시 치료가 힘든 난치암이구나…"
국내 연구진이 이 단백질의 분해 방법을
세계 처음으로 찾아냈습니다.
암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윈트' 신호를
억제하는 효소 가운데 하나를 활성화시켰습니다.
이 효소는 라스 단백질이 인산의 성질을
띠도록 바꿔, 단백질 분해 물질과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되면 돌연변이 라스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분해돼 사라집니다.
인터뷰: 최강열 교수 / 연세대 생명공학과
"라스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거나 간접적으로
관련돼 있는 암을 억제하는 데 아주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는 어떤
단초를 제공하지 않았나…"
이번 연구는 세포신호전달분야의 권위지
사이언스 시그널링 내일 자에 소개됩니다.
EBS 뉴스, 서현아입니다.
우리나라 의료계 화이팅
출처 : 암과 싸우는 사람들
글쓴이 : TAYSON 원글보기
메모 :
'병원 치료 > 항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먹는 항암제 국내 개발 늘어.. (0) | 2012.04.27 |
---|---|
[스크랩] 표적치료제의 종류에 대한 정보.. (0) | 2012.04.16 |
항암제 복용 때 다른 약물 처방은 ‘독’ (0) | 2012.04.04 |
항암치료의 이모저모, 치료제 따라 부작용 천차만별 (0) | 2012.04.04 |
[스크랩]항암치료를 잘 받으려면 부작용도 담당의에게 물어봐야 한다 (0) | 201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