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관련 '종양억제유전자'로 알려진 'p53'의 발현만 볼 것이 아니라 간암 관련 여러 유전자의 동시적 발현양상에 대한 복합적 패턴분석을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는 생명과학부 정구흥 교수 연구팀이 간세포암에서 암억제 역할만으로 알려진 'p53' 유전자가 돌연변이 할 경우 다른 역할의 암 유전자에 영향을 줘 암세포 전이증가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간세포암 환자의 예후와 치료지침을 결정할 때 개별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발현 변화뿐 아니라 암 관련 여러 유전자의 발현 양상 패턴 분석을 통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한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p53 유전자는 암억제 유전자에 속하고 'Snail'은 암의 침윤성 및 전이를 촉진하며 'Notch1'은 상황에 따라 종양억제와 종양촉진의 양면성을 모두 나타내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암 관련 유전자의 역할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정상적인 p53 발현이 증가했을 경우 단순히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을 유도하는 점만 고려했다. 또 빈번하게 관찰되는 정상 p53 발현이 암세포의 전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선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번 연구로 간세포암에서 정상 p53이 많이 발현되면 종양억제역할 외에도 Notch1과 Snail과 같은 유전자들의 신호기작 전달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오히려 암전이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 측은 "간세포암 환자의 예후와 치료를 파악할 때 p53 등 개별 유전자의 돌연변이·발현변화뿐만 아니라 암 관련 여러 유전자의 발현양상 패턴분석을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간세포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병률이 5번째로 높고 한국인의 암 발생률 및 사망원인 3위인 치명적인 암이다. 특히 진행성 간세포암은 다른 암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아 환자의 10%만이 5년 이상 생존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간질환 연구분야에서 세계 최고 저명 학술지인 '간장학(Hepatology)' 1월호에 게재됐다.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을 이기자… 간기능 유지·회복 위해 식사 충분히 (0) | 2011.02.22 |
---|---|
“이젠 혈액형 달라도 肝이식… 10 ~ 20년 뒤엔 돼지肝 가능” (0) | 2011.02.19 |
침묵의 살인자, 간암…"정기검진으로 예방해야" (0) | 2011.02.16 |
흙속 곰팡이서 간암 치료물질 발견 (0) | 2011.02.14 |
[스크랩]간암, 65~85% B형간염이 원인…사망률 2위 (0) | 201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