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고혈압, 중풍

[자료] 구안와사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1. 23.

구안와사 HIT : 535
한쪽편 얼굴에 마비가 와서 입이 삐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는 것을 구안와사, 또는 안면신경마비라고 한다. 안면신경마비는 구안와사, 와사풍, 안면마비라고도 불리며 대부분의 경우 특발성 바이러스 감염으로 나타나 ‘벨 마비’라고도 불린다.
보통 구안와사 환자들이 진료실에 와서 가장 먼저 물어 보는 말이 ‘중풍이 아니냐’라고 한다. 사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안면신경마비는 중풍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머리가 아프고 설사를 하고 어깨가 뻐근한 것과 마찬가지로 얼굴이 삐뚤어지고 얼굴에 마비감이 오는 증상일 뿐이다. 중풍에서 안면마비가 올 수도 있고 단순한 말초신경장애로 인해서 마비가 올 수도 있는 것이다.

말초성 안면마비환자는 이마의 주름이 마비측에서 풀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간혹 마비측의 귀 뒤쪽(유양돌기쪽)이 뻐근하게 아픈 경우가 있다.

이것은 귀 뒤쪽의 유양돌기 부분에서 안면신경이 빠져나오는 구멍이 있는데, 이 부분이 바이러스에 잘 감염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풍인 경우에 나타나는 반신마비, 삼키기 장애, 발음장애(어둔), 한편으로 기울어지는 걸음걸이 이상과 같은 증상이 동반되지 않고 얼굴근육의 마비 이외의 어떠한 다른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는 뇌종양, 뇌혈관장애, 뇌염 등에 의하여 뇌교에 있는 안면신경핵으로부터 중추측에서 안면신경로가 침범되었을 때 일어난다. 즉 중추신경계에 문제가 생겨오는 경우로 대개는 사지질환과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뇌출혈이나 뇌경색 등의 중풍이다.

같은 쪽 편마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편마비를 동반한 안면신경마비는 바로 중풍이다.

중풍 전조의 5대 증상을 간단히 살펴보면 △반신마목- 손발이 저리고 힘이 없어지기 시작한다. 특히 엄지와 검지의 힘이 없어진다. △언어장애- 말이 어눌해지고 목이 뻣뻣해지는 느낌이 온다. △두통현훈- 얼굴이 붉어지며 열이 위로 솟구치는 느낌이 든다. 머리가 무겁고 두통이 자주 온다. 어지러움 증상이 나타나며 속이 메스껍다. △구규불리- 눈이 침침해지는 느낌이 오며 사물이 아른거리며 둘로 보인다. 귀에서 소리가 난다. 눈이 쉽게 충혈된다. △안면마비- 눈꺼풀이 떨리는 증상이 온다. 입술이 마비되는 듯한 느낌이 든다.

구안와사는 갑작스럽게 나타나기도 하며 차가운 곳에 노출이나 정서적 충격, 감정적 불안, 특수한 해부학적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주요인은 정신적 육체적 과로로 인해 면역력이 약화됐을 때 주로 발생됨을 알 수 있다.

평소에 과로를 피하고 환부와 몸을 따뜻하게 하며 과식과 술을 피하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는 등 올바른 생활습관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정정채 (마산 보은요양병원 한방부원장)



출처 경남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