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에 나쁜 음식
고혈압에는 좋은 음식을 골고루 잘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나쁜 음식을 피하거나 가려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좋은 음식이 무엇인지 묻곤 하는데, 그 이면에는 나쁜 음식은 가려서 먹는 것이 그만큼 힘들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1)인스턴트 식품, 패스트 푸드
- 트랜스 지방이 많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모든 가공식품은 제조과정에서 여러 가지 첨가물들이 들어갑니다. 다수의 공정을 거치면서 변화를 거치기도 합니다.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며 동맥경화증을 가져올 수 있다.
-칼로리가 매우 높아서 비만,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피자, 튀긴 닭의 기름진 성분)
-자극적이고 염분,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많은 반면 비타민과 미네랄(무기질)은 부족해서 영양 불균형을 가져온다.
-포장용기도 나쁜 것이 있다.
-보이지 않는 설탕이라고 할 정도로 설탕이 많이 든 경우가 많다.
-염분(소금)이 많은 경우가 많고 짜게 느끼지 못하는 것은 설탕, 감미료 등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고혈압과 관련 아주 중요하다.
-각종 첨가물(보존제, 방부제, 착색제, 안정제, 화학조미료, 감미료, 탈색제 등)이 많이 들어간다.
-칼로리만 높고 영양은 별로 없는 경우가 많다.
-라면, 과자, 아이스크림, 햄 ,소시지, 청량음료,
2)설탕
“설탕-내 몸을 망치는 달콤한 중독.William Dufty지음”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비만, 고혈압, 당뇨, 우울증의 원인이라고 합니다. 같은 저자의 슈가블루스라는 책도 번역되어 있습니다. 설탕이 없어지면 의사의 많이 필요 없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설탕은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마치 담배가 아무리 건강에 나쁘다고 해도 여전히 담배를 즐기는 사람이 있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설탕은 거의 정제된 포도당과 같은 것으로 바로 흡수되어서 혈당을 높입니다. 이렇게 빨리 올라간 혈당은 내분비계의 지나친 반응을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체는 대사뿐 아니라 기분까지 크게 변화시킨다는 것입니다. 즉 조울증의 원인까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설탕은 칼로리만 높고 미네랄과 비타민, 섬유소 등 필수 영양소 결핍된 정크푸드(junk food)와 같은 것입니다. 오히려 설탕을 먹으면 체내의 비타민과 미네랄을 지나치게 소모시키면서 대사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은 하루 평균 섭취량이 65-100g이라고 합니다. 가공식품 형태로 먹게 됩니다. 한국영양학회의 권장량은 하루 50g인데,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이 경우엔 이것도 많다고 봅니다.
설탕은 산성식품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먹으면 체액이 산성화되고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 칼슘이 지나치게 소모됩니다. 칼슘은 뼈 건강에도 중요하지만 고혈압에도 아주 중요한 대량 미네랄입니다.
3)밀가루 음식(정제된 흰 밀가루)
설탕, 흰쌀밥과 함께 삼백(三白)식품이라고 하여 건강에 좋지 않는 음식의 대명사 격입니다.
흰밀가루는 제조과정에서 영양물질인 씨눈과 밀겨가 제거되고 표백제가 들어갑니다. 저장과정에서 방부제가 들어갑니다. 흰밀가루로 빵과 과자를 만들면 색소와 화학조미료와 향신료가 들어갑니다. 가루음식이라 당지수가 높고 먹으면 바로 혈당이 올라가는 등 대사증후군의 원인이 됩니다. 밀가루 음식은 통밀가루가 좋습니다.
4)트랜스 지방이 많이 든 일체의 식품
트랜스 지방은 액체 기름을 고체 지방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발생 하는 지방으로 마가린과 쇼트닝 형태의 지방입니다. 트랜스 지방은 유지(마가린. 쇼트닝 등), 양념(마요네즈. 소스 등), 빵(햄버거, 도넛, 피자, 케이크 등), 과자(파이, 쿠키, 팝콘 등), 인스턴트 식품(수프 등), 튀김, 유제품, 어육제품 등에 들어있습니다.. 식물성 기름을 튀길 때도 발생합니다. 바삭거림, 고소함, 그리고 부드러움까지 우리의 미각을 자극하는 맛있는 것이 많습니다.
트랜스 지방은 체중을 늘게 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을 증가시켜 심장병,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촉진시킨다고 합니다. 트랜스 지방 섭취를 2% 늘리면 심장병 발생위험이 25%나 '점프'한다는 연구논문도 있습니다. 트랜스 지방이 간암, 유방암, 위암, 대장암 및 당뇨병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5)과식, 폭식
비만, 복부 내장 비만의 핵심 원인입니다. 소나기밥, 폭식을 하면 살이 쉽게 찝니다. 굶주려 있다고 한꺼번에 음식이 많이 들어오면 인체는 불규칙한 식사로 인한 기아를 대비하기 위하여 영양분을 많이 흡수하고 지방 형태로 저장합니다.
6)지나친 육식
베스킨 라빈스 아이스크림의 상속자였던 존 라빈스이 쓴 책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라는 책이 있습니다. 육식은 각종 암과 동맥경화, 골다공증, 당뇨병을 비롯한 만성질환 상당수가 육식, 생선, 우유, 달걀 때문일 수 있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가 먹는 고기는 과거에 길러서 먹던 것과는 달리 사육한 것이 대부분이고 그래서 좋지 않다는 얘기도 합니다. 우리민족은 역사적으로 고기와 우유를 많이 먹지 않았습니다. 유전적으로 열성일 수도 있습니다. 고기에는 포화지방산이 많아 콜레스테롤을 높입니다. 고기에는 효소가 거의 없어서 소화와 대사에 어려움도 있습니다. 성인병에는 절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커피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미국 듀크대학 실험). 고혈압이 있고 커피가 본인의 혈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면밀히 검증하면서 즐기는 생활 태도가 필요합니다. 특히 커피를 마시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불면증이 오는 사람은 커피가 좋지 않습니다. 홍차와 녹차에도 카페인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8)음주와 흡연
담배는 끊는 것이 최선이고 술은 절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술을 절제하여 마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술을 먹어야 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는 생활, 개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술을 먹지 않겠다는 본인의 의지일 것입니다. (위 고혈압 관리 참조)
9)일체의 짠 음식.
김치, 젓갈, 장조임,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의 음식에 신중해야 합니다. 짜지 않더라도 과식은 염분을 많이 섭취하게 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으로 2,000㎎을 제시합니다. 이는 소금 5g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질병 > 고혈압, 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혈압 필수 상식 (0) | 2009.02.24 |
---|---|
뇌색전증 방지 경동맥 스텐트 FDA 허가 (0) | 2009.02.21 |
[스크랩]뇌졸증 직전에 이런 현상이 (0) | 2009.01.28 |
[자료] 구안와사 (0) | 2009.01.23 |
[자료] 저혈압 쭉쭉 올려주세요 (0) | 200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