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환자들은 가족들이 먹는 음식을 같이 먹어도 될까? 물론이다. 당뇨병환자들의 식사는 일반사람의 식사와 크게 다를 바 없다. 단지 하루 섭취량을 생각하여 식단을 작성하면 되는 것이다. 식품교환표와 식품교환단위를 이용하여 섭취량도 지키고 영양소도 균형 있게 섭취할 수 있는 식단을 작성해 보자.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6가지 식품별 교환단위수를 하루 3끼 식사와 간식으로 고르게 나누어 골고루 섭취하면 당질,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모든 영양소를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 ||||||||||||||||||||||||||||||||||||||||||||||||||||||||||||||||||||||||||||||||||||||||||||||||||||||||||||||||||||||||||||||||||||||||||
|
![]() | ||||||||||||||||||||||||||||||||||||||||||||||||||||||||||||||||||||||||||||||||
→1800kcal에 해당하는 처방열량을 1일 3회 식사와 2회 간식으로 나누어 식단을 작성한 것이다. 1800kcal 이외의 다른 1일 처방열량도 밥, 간식에서 소량씩 바뀔 뿐 큰 차이는 없다. 단, 직장, 학교생활, 휴가나 여행과 같은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사계획은 변형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의사, 영양사와 정기적인 상담을 하는 것이 좋다. ![]() |
1. 섬유소가 풍부한 식품 야채류와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
2. 정제된 곡류 보다는 도정이 덜된 곡류를, 주스나 통조림 보다는 생과일을, 녹즙 보다는 생채소를 선택하면 섬유소의 섭취가 많아진다. |
3. 조리법 중 튀김이나 전 같이 지방을 많이 사용하는 조리 방법 보다는 볶음, 구이, 찜, 조림 등의 방법을 선택한다. |
4.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고기류는 기름끼를 떼어내고 닭고기는 껍질을 제거 후 조리한다. |
5. 버터, 라이드, 돼지기름 등의 동물성 기름 대신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다. |
6. 설탕, 물엿, 꿀 등의 사용을 가급적 피한다. |
7. 음식의 단맛을 내기 위해 아스파탐(그린스위트, 화인스위트 등)을 사용할 때, 높은 온도에서는 단맛이 감소하므로 조리한 다음 음식이 식은 후에 넣는다 |
8. 설탕 대신 식초, 겨자, 레몬 등의 향신료나 양념류를 적절히 사용하여 음식의 맛을 좋게 한다. |
9.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이 많은 식품은 가급적 피한다. |
10. 조리하기 전에 식품의 무게를 달아 보는 습관을 길러서 1교환단위의 양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
11. 소금, 간장의 사용을 줄인다. |
자료출처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합병증 - 저혈당(급성합병증) (0) | 2009.01.23 |
---|---|
당뇨합병증 - 고혈압 (0) | 2009.01.23 |
[스크랩] 당뇨 식품교환표 (0) | 2009.01.22 |
[자료] 당뇨병 환자의 영양치료 (0) | 2009.01.20 |
[스크랩] [자료] 인슈린이란 ? (0) | 200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