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6684

알레르기와 면역 알레르기란, 한마디로 말하면 '유괘한 면역반응'이다. 되풀이하지만, 면역은 체내에 이물질(항원)이 들어오면 그것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이물질을 배제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이 조금만 이상을 일으켜도 평소라면 항원이 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항체를 만들어낸다. 그 결과, 항원과 항체가 반응하.. 2008. 3. 23.
암면역을 저하시키는 요인 암면역이 되기 위해서는 혈액 1ml당 1,000이상의 임파구가 필요하다. 항암제가 투여되거나 방사선을 투사하면 백혈구와 임파구는 확실히 줄어든다. 임파구의 수가 1,200 정도면 암면역은 된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하로는 기대할 수 없다. 임파구의 세포막이 활성산소에 의한 과산화반응을 일으키면 세포.. 2008. 3. 23.
면역과 암의 싸움 암면역의 주역은 T세포지만 면역계세포가 발동하기 전에 NK세포가 활동하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세포는 이물화한 세포(암의 감염세포)를 공격해 죽이는데 발암 초기당계에 이미 맡은 바 역활을 다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그 공격력은 그다지 강하지 않다. 다음에 발동되는 것은 T세포이다. 암을 발.. 2008. 3. 23.
암면역이란 암은 원래'자기세포'이다. 그것이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자기로부터 탈출하여, 끝없이 증식하는 것이다. 면역은 정상이면 '자기'와는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오랜 동안'암면역'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돼왔으나 이물질을 퇴치하는 것처럼 면역의 활동에 의해서 암을 축소, 제거할 수 있지 않을.. 2008. 3. 23.
면역군단 면역의 주역은 백혈구군단이다. 이 군단에는 몇종류의 세포가 있는데 서로 힘을 모아 이물질과 싸운다. 마크로퍼지 : 간장이나 비장에 정착한 세포와 혈액을 타고 전신을 돌아 순찰하는 유주성 세포가 있는데 세균을 잡아먹는 쪽은 유주성 세포이다. 과립구 : 3종류로 나뉘지는데 이 중 호중구는 마크.. 2008. 3. 23.
페포 마크로퍼지와 뇌의 관문 페포 마크로퍼지 기도의 방위망을 빠져나가 페포에 이르는 이물질도 있다. 폐포는 산소와 탄산가스를 교한하는 기관인데 여기에는 폐포 마크로퍼지라고 불리는 파수꾼이 있다. 폐포 마크로퍼지는 기도의 방위망을 벗어나 폐포로 들어온 세균이나 이물질을 먹어치우는 면역세포로 보통은 혈액 속 등 .. 2008.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