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암정보2175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발생부위 백혈구는 골수구 세포와 림프구 세포로 나뉩니다. 골수구 세포는 호중구, 호염구, 호산구로 나뉘는데, 전체 백혈구의 50~60 %를 차지고 림프구 세포는 35~45 %를 차지합니다. 림프계는 감염과 싸우는 백혈구 세포를 포함하여 몸 전체에 거미줄처럼 퍼져 순환하는 면역조직으로 우리 몸의 필터와 배수의 역.. 2008. 9. 9.
균상식육종의 발생부위 발생부위 피부의 어느 곳에나 발생할 수 있으며, 윤상(둥근 모양), 궁상(활모양) 혹은 위축성의 병변이 주로 유방하부, 겨드랑이, 서혜부및 둔부 등의 노출되지 않은 부위에 자주 발생합니다. T 림프구의 기능 T 림프구는 B림프구에 작용하여 항체를 생산하게 하며 대식 세포에 작용하여 대식 세포를 활.. 2008. 9. 9.
구강암의 발생부위 구강암은 입안의 혀, 혀밑바닥, 볼점막, 잇몸, 입천장, 후구치삼각, 입술, 턱뼈 등에 발생하며 이를 총칭하여 구강암이라고 합니다. 구강의 기능 구강은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첫 관문으로, 치아로 음식물 잘게 부수고 인두를 통하여 식도로 음식물을 보내는 역할을 하며 또한 구강의 혀, 입천장 등은 인.. 2008. 9. 9.
급성골수성백혈병의 발생부위 백혈병은 골수에서 발생하며 말초 혈액으로 퍼져 전신으로 가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 종양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골수는 머리뼈, 가슴뼈, 갈비뼈, 허리뼈, 골반뼈 등의 중심 부분에 있는 해면체로써 혈액세포가 생산되고 성숙하는 장소입니다. 골수에서 만들어진 혈액세포는 혈액으로 방출.. 2008. 9. 9.
고환암의 발생부위 고환의 위치 및 구조 고환은 태아기에 복강에서 발생하여 임신 24~35주 정도에 음낭 내로 하강하는 남성생식기계의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성인간호학 하, 제 4판, p254, 전시자 외, 2005)%%--> 고환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크기는 보통 4×3×2.5 cm의 타원형이고, 무게는 약 10.5 gm~14 gm으로 다.. 2008. 9. 9.
Ewing 육종(Ewing sarcoma) Ewing 육종(Ewing sarcoma) 소아와 청소년층에 발생하는 골종양 중 두번째로 흔하며, 75%에서 20세 전에 발생한다. 남자에서 빈도가 약간 높고, 흑인의 경우 거의 없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도 드물다. 원인 확실하지 않다. 병리 현미경으로 보면 작고 둥근 세포가 많이 모여 있고 PAS염색에 양성인 .. 2008.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