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스크랩 제발 먹지 마세요… 흔한데, 수명 단축하는 ‘식품’의 정체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5. 5.

 
과자, 냉동식품 등 초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초가공식품 섭취가 많을수록 조기 사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가공식품은 감미료, 방부제, 색소 등의 식품 첨가물이 들어있고 가공과 변형이 많이 된 음식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즉석식품 및 냉동식품 ▲햄과 소시지 ▲라면 ▲포장된 제과류 ▲탄산음료 등이 있다.

브라질 오스왈도 크루즈 재단의 에두아르도 닐손 박사 연구팀은 호주,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영국, 미국 등 8개국의 기존 연구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각국 국민의 평균 식단에서 초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중과 조기 사망률을 계산했다.

그 결과, 식단에서 초가공식품의 비율이 10% 증가할 때마다 모든 원인에 의한 조기 사망 위험이 3%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분석했을 때 콜롬비아는 초가공식품의 섭취 비율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 칼로리 섭취량의 약 15% 수준이었다. 반면, 미국은 초가공식품이 일일 섭취 칼로리의 54% 이상을 차지해 가장 높았다. 영국도 이에 근접한 53% 이상의 비율을 기록했다.

초가공식품 섭취로 인한 조기 사망 비율은 콜롬비아와 브라질에서는 약 4%에 그친 반면, 미국과 영국에서는 14%에 달했다. 미국의 경우 2017~2018년 사이 초가공식품 섭취로 인한 조기 사망자가 약 12만 4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초가공식품은 전 세계적으로 수만 명의 조기 사망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러한 초가공식품은 심장질환, 비만, 당뇨병, 특정 암, 우울증 등 32가지 이상의 건강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인 닐손 박사는 “초가공식품의 건강 피해는 전 세계적으로 더 확산될 우려가 있다”며 “초가공식품 소비를 자제하고, 지역의 신선하고 최소한만 가공된 식재료에 기반한 전통 식단을 장려하는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예방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4/29/2025042902757.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