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암병원이 암 레지스트리 1차 구축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 암 레지스트리란 암 연구에 필요한 환자의 각종 임상 데이터를 표준화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을 말한다. 암 레지스트리에 차곡차곡 쌓여있는 빅데이터를 이용하면 암 연구에 획기적인 발전을 끌어낼 수 있다. 암병원은 지난 14일 암 레지스트리 1차 구축 완료 기념 보고회를 개최했다. 2020년 폐암을 시작으로 유방암·간암·대장암·림프종·췌장담도암·위암·난소암·전립선암·뇌종양·두경부암·육종 등 국내에서 자주 생기는 12개 암종에서 레지스트리를 만들었다. 식도암·자궁경부암·백혈병 등 다른 암종들도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구축된다. 암 레지스트리 구축을 이끈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데이터관리팀 표홍렬 팀장(방사선종양학과 교수)은 다른 레지스트리와 차별점으로 ‘전향적 연구’에 특화한 환경을 꼽았다. 대부분이 병원의 기존 데이터를 선별하는 방식인 데 반해, 이번 레지스트리는 앞으로 데이터가 잘 쌓일 수 있도록 처음부터 구조화 설계를 거쳐 표준화·자동화 등이 구현되도록 한 게 특징이란 설명이다. 표홍렬 팀장은 “진료 정보가 자동으로 추출되도록 해 의료진의 수고를 덜고, 사용도 쉽게 했다”면서 “사람 손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본 진료 전 예진 절차를 거치도록 해 정보의 완결성도 높였다”고 말했다. 실제로 레지스트리를 사용하면서 24년 수술 환자의 병기 수집률은 95%, 현병상태 수집률은 100%에 달했다. 암병원은 암 레지스트리 구축을 계기로 암 관련 데이터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암의 진단과 치료를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이우용 병원장(대장항문외과 교수)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인공지능 시대에서 환자 데이터를 잘 모으고, 잘 들여다보면 암 극복이란 신대륙을 발견할 나침반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암 레지스트리가 더 많은 쓰임을 얻어 암을 극복하는 데 보탬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개선,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3/18/2025031801887.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국내외 암관련 시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근무 중 느낀 불편, 스스로 해결”… 한 대학병원의 ‘자율 혁신’ 도전 (0) | 2025.03.24 |
---|---|
스크랩 가천대 길병원 암센터, 3년 연속 전국 1위 기관 선정 (0) | 2025.03.23 |
스크랩 '주4일제' 요구하는 병원계와 先鋒 세브란스… 제도화까지 가능할까? (0) | 2025.03.21 |
스크랩 삼성서울병원,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참여 (0) | 2025.03.21 |
스크랩 연세의료원, 한국의료로봇센터 확장 개소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