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노인성 질환 중 하나가 척추관 협착증이다. 갈수록 환자가 증가해 척추과 협착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 통계를 살펴보면 2015년 134만8965명에서 2023년 182만2204명으로 8년 새 약 35% 증가했다.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디스크(추간판 탈출증)와 함께 대표적인 척추 질환 중 하나로 불린다.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인 척추관 내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발병 원인으로는 노화로 인한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와 이에 따른 뼈돌기 생성 및 인대와 관절의 비대화 등이 있다.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은 허리디스크와 유사하다.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및 피 안 통하는 느낌, 자고 일어났을 때 다리가 굳어있거나 심하면 새벽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앉아 있을 때는 통증이 덜하지만 허리를 편 상태에서 걷거나 오래 서 있을 때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거동이 어려워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 증상이 지속될 경우 극심한 허리 통증과 보행장애를 일으킨다. 나아가 제대로 걷거나 움직일 수 없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지마비나 대소변 장애로도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척추관 협착증의 치료는 협착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증상이 경미한 초기의 협착증 환자는 약물, 보조기,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비교적 가볍게 증상 호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삶의 질이 떨어질 정도의 통증 및 일상생활 불편감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까지 고려해야 한다. 기존에는 허리 수술에 대한 부담감으로 치료를 미루다가 악화돼 내원하는 환자가 많았다. 이는 기존의 협착이 발생한 척추 주변부를 약 5~10cm 절개하고서 병변에 접근하는 절개형 방식의 수술에 대한 인식 때문인데, 최근 이런 단점을 보완한 최소침습적 방식의 수술인 '7mm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도입돼 환자 부담이 크게 줄어들게 되었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국소 마취 후 병변부위에 약 1cm 이하의 작은 구멍 2개를 뚫고 한쪽에는 특수 수술기구를, 다른 한쪽으로는 고화질의 척추내시경을 넣어 치료를 진행한다. 양방향에서 각각 내시경과 기구가 삽입되기 때문에 원활한 시야 확보와 수술기구의 사용 폭이 넓어져, 더욱 정확하고 안전한 수술이 가능하며, 고화질의 내시경 화면을 통해 주변조직 손상 없이 병변 및 신경, 미세혈관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척추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만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다.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침습 방식의 수술로 근육의 손상 및 수술 후 통증, 흉터는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는 극대화됐으며 고령 및 만성질환 환자도 시행 가능할 정도로 안전하다. 본원에서 수술받은 환자들의 경우 수술 시간은 약 1시간 내외, 입원 기간은 평균 1박2일에서 2박 3일 정도로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하다. 다만,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환자 부담을 줄인 고난도의 수술로, 경험이 풍부하고 척추의 해부학적 이해도가 높은 척추를 전공한 전문 의료진에게 수술받는 게 중요하다. (*이 칼럼은 연세베스트병원 이준석 원장의 기고입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20/202502200195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이염 수술 환자 40% 감소 (0) | 2025.02.24 |
---|---|
스크랩 탈장됐다, 그런데 안 아프다… 수술 꼭 해야 할까? (0) | 2025.02.20 |
스크랩 역류성식도염 수술 전, 예후 확인 가능해졌다 (0) | 2025.02.18 |
스크랩 잠 설치게 만드는 전립선비대증, 약·수술 부담 없이 '금속실'로 묶어 치료 (0) | 2025.02.17 |
스크랩 암 수술 줄었지만, 의료 질은 유지… “현 상황 이어지면 장담 못해”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