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수술

스크랩 역류성식도염 수술 전, 예후 확인 가능해졌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1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역류가 지속되는 환자가 수술을 받기 전 예후가 좋을지 확인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역류성식도염 등으로 항역류 수술을 고려할 때, 식도기능검사로 수술 필요성 유무만 확인해 왔다. 수술 후 증상 호전 확률과 호전 정도는 알 수 없었다.

고려대안암병원 박성수 교수팀(박성수 교수, 석박사통합과정 이인혁)은 항역류수술 대상 환자가 치료 효과를 미리 제공받고 수술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예후 지표를 개발했다. 24시간 식도산도검사와 식도내압검사로 정밀한 예측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두 건의 연구로 항역류 수술 전후의 데이터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 72명의 항역류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식도 역류 물질 노출 시간(볼루스 노출)이 기존의 식도 산 노출 시간(AET)이나 DeMeester 점수(DMS)보다 수술 후 증상 호전에 대한 예측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했다. 특히, 위산 역류가 병리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볼루스 노출이 높은 경우 수술 후 증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152명을 대상으로 하부 괄약근(LES)의 길이와 압력이 항역류 수술 후 증상 호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LES의 길이가 4.05cm 이상이고, LES의 안정압력이 19.65mmHg 이상일 경우 수술 후 증상 개선 가능성이 높았다. 다만, 체질량지수(BMI)가 23.67kg/㎡ 이상인 환자는 수술 후 증상 호전 가능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박성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항역류 수술 후 증상 호전을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객관적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기존의 주관적 보고 기반 진단법의 한계를 보완해, 정확한 근거하에서 치료 결정을 내리는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특히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효과가 모두 불명확해 고생하는 환자에게 수술의 효과를 수치상으로 제시해, 환자의 기대 수준에 맞춘 항역류수술 선택이 가능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두 가지 모두 외과학 분야 최상위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에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2/2025021201981.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