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저하와 인슐린 저항성 증가 등으로 혈당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만성질환이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병의 진행과 함께 기존 약물만으로는 혈당 조절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최근 기존의 약물 조합으로 혈당 조절이 충분하지 않았던 환자에게 ‘다파글리플로진’을 추가하면 치료 효과가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파글리플로진은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다. SGLT-2 억제제 계열 약제로, 신장에서 포도당이 재흡수되는 걸 억제해서 소변으로 포도당을 배출시킨다.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정인경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 환자들이 기존에 흔히 사용하던 ‘에보글립틴’과 ‘메트포민’에 다파글리플로진을 추가했을 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는 총 198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기존 치료에 다파글리플로진 10mg 혹은 위약을 추가로 복용하게 만든 후 24주 동안 환자들의 혈당, 체중, 간 건강 지표, 그리고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관찰했다. 분석 결과, 다파글리플로진을 추가 복용한 환자들은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평균 0.7% 더 감소했다. 이는 혈당 관리에 있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평균 체중은 1.79kg 줄어들어, 비만과 연관된 합병증 위험도 감소했으며, 간 건강 지표와 인슐린 저항성 지수도 유의미하게 개선되어 대사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작용 발생률은 위약 그룹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저혈당 위험도 낮았다. 정인경 교수는 “기존 치료법에 다파글리플로진 추가 투여를 통해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체중 감소와 대사 개선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했다”라며 “부작용이 적고 사용이 편리해 환자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GLT-2억제제는 혈당 감소나 체중감소 이외에도 여러 장점이 있다. 신장으로 포도당을 배출할 뿐만 아니라 나트륨 배출을 통해 혈압 감소, 단백뇨 개선, 신장 보호, 심부전 위험 감소,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 등의 효과들이 보고돼 심장이나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많이 처방된다. 지난해 10월,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4’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30대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14.8%이다. 약 533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뜻이다. 당뇨병이 무서운 이유는 눈, 콩팥, 신경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뇌혈관이나 심장혈관까지 각종 합병증 발생과 연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병증 발생률은 혈당 조절이 안 될수록,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수록 높아진다. 다파글리플로진과 같은 SGLT-2 억제제는 혈당 개선 외에 다양한 효과가 입증된 약제다. 최근, 비만한 젊은 당뇨병 환자가 많아지면서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감소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9/2025021902970.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40세 이전 조기 폐경한 여성… ‘이 병’ 위험도 높아 주의 (0) | 2025.02.24 |
---|---|
스크랩 국민 10명 중 4명, 당뇨병 전 단계… 예방 가이드라인 나왔다 (0) | 2025.02.24 |
스크랩 [밀당365] 초콜릿 먹어도 될까요? 당뇨병 예방에 도움 됩니다 (0) | 2025.02.20 |
스크랩 당뇨병 전 단계일 때, ‘이 채소’ 많이 먹으면 혈당 다시 낮아진다 (0) | 2025.02.19 |
스크랩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계 예후, 혈액의 ‘응고 강도’와 밀접한 연관 있어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