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암 대체,보완요법

스크랩 [아미랑] 미술, 바라보는 것만으로 치유가 일어납니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23.

<암이 예술을 만나면>
 
김태은교수그림
미술치료사로 병원에서 암을 치료받고 계신 분들을 만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몸이 아픈데 무슨 미술이에요?”라는 핀잔의 말씀입니다. 실제로 몸이 많이 힘들어서 그러시는 분도 계시지만 그림을 그려본 적이 없어서, 미술이 너무나 멀고 어렵게 느껴져서 거절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이런 핀잔을 들을 때마다 전 명화집을 보여드립니다. “아휴, 난 그런 거 몰라요”라는 말씀을 하던 분들도 집중을 하는 순간이 있는데요. 바로 유명한 화가들의 생애를 말씀드릴 때입니다. “아이고, 일제 강점기였던 그 시절에 그림 공부를 했다는 거네”라며 다른 나라의 유명한 화가의 이야기를 들으시는 것은 어린 시절 할머니에게 옛날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몰입감과 호기심을 일으키는 듯합니다.

질병 속에서 자신의 작품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가며 색채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싶었던 앙리 마티스의 이야기는 환자분들에게 많은 감동을 주곤 합니다. 원래 법을 공부했던 그는 병에 걸려 요양하는 동안 어머니가 사주신 미술 재료로 그림을 그리며 진로를 바꿨습니다. 환자분들은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림을 배우기 시작한 용기 있는 그의 ‘화가로서의 삶’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귀를 기울여주십니다. 특히 말년에 심한 관절염으로 고생할 때도 손에 붓을 묶어서 그림을 그리곤 했다는 마티스의 이야기는 환자분들에게 자신의 삶 속의 의지를 불태웠던 때를 회상시키기도 합니다.

마티스는 나중에 손에 붓을 묶는 것도 쉽지 않자 색종이를 가위로 오려서 붙이는 콜라주 작업에 몰두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미술에 대 잘 모르던 환자들도 “아, 나도 가위질은 잘할 수 있는데”라며 동요되기 시작합니다. 그럼 저는 환자분들께 안전 가위와 다양한 색종이를 나눠드리며 좋아하는 색을 고르고 원하는 모양으로 자르는 것을 제안 드립니다.

좋아하는 색을 고르고 가위로 쓱쓱 잘라내는 이 과정도 미술 치료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네, 환자분들께 매우 중요한 순간입니다. 사실 병원에 계신 분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충분히 누릴 수 없는 상태입니다. 선호하는 공간보다는 병실, 내가 원하는 옷보다는 병원복, 내가 먹고 싶은 것을 먹기보다는 병원 식단에 의한 식사 등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나도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물론 집중 치료를 위해서 그럴 수밖에 없는 거지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색상을 고르고 가위질을 해서 내가 원하는 특정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은 대단한 통제력을 발휘하게 합니다.

어떤 분은 빨간색 색종이에 꽃모양을 오려내고 어떤 분은 분홍색 색종이를 하트 모양으로 오려냅니다. 어떤 분은 노란색 색종이를 바나나 모양으로 오려내기도 하고요. 과일 바구니, 꽃밭, 다양한 모양의 색종이 등, 환자분들은 본인이 직접 만든 작품에 대해 이야기도 나눕니다. “가위로 쓱쓱 잘라가면서 만들다 보니 다른 생각이 안 들더라”, “예쁘지 않다고 생각했는데 이것저것 다 붙여 놓고 보니 화려하고 기분이 환해지는 기분이다” 등 그림을 그릴 때보다 부담이 좀 덜어졌다는 이야기들이 주를 이룹니다.

작품에 대한 이야기가 끝나면, 다시 마티스의 이야기로 돌아갑니다. 마티스가 남긴 이야기를 나누며 현재 암으로 치료 받고 있는 이 순간 우리의 작품에 대한 의미도 새롭게 만들어 봅니다.

마티스가 “나는 균형이 잡힌 무구(無垢)한 그림을 그리고 싶다. 지쳐버린 사람에게 조용한 휴식처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그림을 말이다”는 말을 남겼다는 것을 환자분들께도 전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휴식처와 같은 그림’을 제공하고 싶어 했다는 마티스의 이야기는 또 다른 깊이의 감동으로 환자분들께 다가갑니다. 환자분들은 당일 가장 컨디션이 안 좋아 보이는 분이나 우울해 보이는 분께 작품을 선물하기도 합니다.

아파봤던 사람은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을 더 잘 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에 대해 더 조심스럽게 고민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마티스가 투병 중에도 작품 활동을 멈추지 않고 자신의 작품이 누군가에게 휴식처가 되고 싶다는 소망을 품은 그 마음이 지금 미술 치료실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우리 모두가 예술가입니다. 예술가의 시각으로 세상을 더 다양하게 바라보고 새로운 답을 찾아가는 창의적인 시각으로 내 자신을 바라보세요. 암을 투병하고 있는 자신을 더 사랑스럽고 용기 있게 바라보며 지혜로운 방법으로 이 시기를 보내게 될 것입니다.

예술가 여러분! 봄을 기다리는 여러분의 오늘을 응원합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8/2025021802603.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