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할머니 냄새난대요”… 아이 고민에 교사의 답변 “그리운 냄새”, ‘따뜻한 위로’ 화제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13.

 
‘할머니 냄새가 난다’는 질문에 한 초등학교 교사가 남긴 답변이 화제다./사진=네이버 지식인 캡처
한 어린이가 ‘할머니 냄새가 난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해 고민이라는 글을 올리자 이에 한 초등학교 교사가 내놓은 답변이 화제다.

10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지난 2023년 11월 네이버 지식인에 올라온 질문 글이 재조명됐다. 아이로 추정되는 질문자는 ‘할머니 냄새’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작성자는 “할머니랑 사는데 최근에 친구들이 나한테서 ‘할머니 집 냄새가 난다’”며 “할머니 집 냄새가 무슨 냄새냐,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모르겠다”라고 했다. 이에 11년 차 초등학교 교사라고 밝힌 A씨는 “나도 어렸을 때 할머니가 키워주고 할머니와 19세 때까지 침대에서 같이 잤다”며 “그래서 할머니 냄새를 너무 잘 안다”고 했다. 이어 “할머니 냄새는 그리운 냄새, 곁에 있으면 마음이 푸근해지고 넉넉해지는 냄새, 많은 걸 받아줄 것 같아서 자꾸 툴툴거리게 되는 냄새다”라며 “이제는 내가 어른이 돼서 할머니를 볼 수 없다”고 했다. 이어 “할머니가 너무 나이가 드셔서 하늘나라에 보내드렸다”며 “할머니가 너무 보고 싶고 그 냄새가 그립고 맡아보고 싶어서 할머니 옷장을 열었는데 할머니 냄새를 맡고 엉엉 울었던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옷을 다 정리하니 더는 (할머니 냄새)를 맡을 수 없었다”며 “질문자님에게는 평생 기억에 남을 소중한 냄새가 될 거다”라고 답했다. 이에 사람들은 “답변이 너무 따뜻하다” “아이가 상처받거나 주눅 들지 않게 마음 써주는 게 보이는 현명한 답변이다” “인류애 충전했다” 등의 수많은 따뜻한 댓글을 남기기도 했다.

노인에게는 특유의 냄새가 나기 쉽다. ‘노넨알데하이드’라는 물질이 과도하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노넨알데하이드는 피지 속 지방산이 산화되며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모공에 쌓여 퀴퀴한 냄새를 만든다. 노넨알데하이드는 젊었을 때는 생성되지 않다가 40대부터 노화로 인해 ▲피부의 유익균 감소·유해균 증가 ▲피부 산성화 ▲지질 성분 변화 등으로 인해 만들어진다. 나이 들면 노넨알데하이드 제거 능력도 감소한다. 나이 들면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활동량 감소와 신경계 퇴화로 땀 분비량이 줄기 때문이다. 노화와 함께, 술과 담배를 즐기면 노넨알데하이드 분비량도 증가해 냄새가 더 많이 난다. 음주는 노넨알데하이드 생성을 촉진하고 흡연은 분해를 억제한다. 음주와 흡연은 체취뿐 아니라 입 냄새까지 유발할 수 있다.

노넨알데하이드로 인한 노인 냄새를 줄이려면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먼저 기름진 음식 섭취를 줄이는 게 좋다. 노년층은 기름진 음식을 잘 소화하지 못해 대사물질이 피부 등에 축적, 노넨알데하이드 생성도 촉진된다. 이땐 특히 겨드랑이 냄새가 심해진다. 비누나 세정제를 사용해 몸을 꼼꼼히 씻고, 되도록 일주일에 두 번 이상은 물에 몸을 푹 담그는 입욕을 하는 게 좋다. 피부를 불려 산화 성분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밖에 햇볕을 쬐며 산책하고, 속옷을 자주 갈아입는 걸 권장한다. 자외선에는 살균 효과가 있어 냄새 제거에 도움을 준다. 또 적당한 운동은 땀 배출량을 늘려 노폐물이 나오게 해 냄새를 줄인다.

한편 노화로 인해 침 분비가 줄어들면서 입 냄새가 심해지기도 한다. 노화로 인해 침 분비가 줄기 때문이다. 침은 입안에서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을 씻어내는 역할을 하는데 침이 부족하면 이물질이 잘 씻기지 못해 입속에 쌓여 냄새가 난다. 따라서 입 냄새를 줄이려면 침 분비를 원활하게 해 입안을 촉촉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러려면 소량의 물을 자주 마셔 입 안을 적셔줘야 한다. 물을 마실 땐 입 안 전체를 적시듯 천천히 마신다. 레몬, 오렌지 같은 신 과일을 먹는 것도 좋다. 신 과일을 먹으면 침 분비량이 늘어난다. 턱 밑을 마사지하거나, 입술 안쪽에 혀끝을 대고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누르는 ‘구강 체조’도 효과가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10/2025021001667.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