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이 떨어진 것 같고, 주제가 명확하지 않은 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는 자신을 발견했다면, 당장 노트와 펜을 들자. '글쓰기'는 이런 증상을 해소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서 언어능력과 어휘력이 감소하는 건 아니다. 미국 버지니아대 심리학과 티머시 솔트하우스 교수팀 연구 결과, 뇌의 기능 중 기억·지각 속도·추론 등은 20대부터 점차 줄다가 60대 이후 급감하지만, 어휘력은 70대 이후 최고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이화여대 심리학과 연구팀 연구에서도 나이가 들면서 인지능력은 급감하지만, 어휘력과 언어능력은 약간 감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마치 어휘력이 떨어진 것처럼 나이가 들수록 물체나 사람의 명칭이 잘 떠오르지 않고, 대화의 갈피를 잡기 어려운 이유는 어휘력이 아닌 '인지기능'이 떨어진 탓이다. 미국 멤피스대 심리학과 로저 크루즈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언어능력 자체보다는 이해력, 기억력, 정보처리, 작업 기억 등 뇌의 다른 기능이 감퇴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실제로 하나의 과제를 끝낼 때까지 집중할 수 있는 집행통제 능력이 떨어지면 언어능력이 출중해도 조리 있게 말을 이어 나가지 못하거나 한 번 뱉은 말을 다시 되풀이하게 된다. 글쓰기는 인지기능을 포함한 뇌 기능의 노화를 늦추는 데 효과적이다. 글을 쓸 땐 소재를 생각하고, 주제를 결정하고, 끝맺음을 맺을 때까지 집중하는 등 다양한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국 유타주립대 심리학과 연구팀이 평균 73.5세 성인 215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더니 일기 등 글을 꾸준히 쓴 사람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모든 유형의 치매 발병 위험이 53%나 낮았다. 복잡한 단어를 자주 사용할수록, 글을 길게 쓸수록 인지기능 유지에 큰 도움이 됐다. 스스로 생각해서 작성해야 하는 글쓰기가 당장 시작하기 어렵다면, 일단 적힌 정보를 받아들이는 독서부터 하는 것도 괜찮다. 독서도 인지기능 유지에 효과적이다. 중국 베이징대 신경학과 린 루 교수팀이 38개국 210만명을 최소 3년에서 최대 44년 추적 조사한 대규모 연구에서, 글쓰기뿐 아니라 독서도 치매 예방에 좋다고 알려진 신체활동(운동)이나 사회 활동(동호회)보다 치매 예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는 뇌에 적절한 자극을 가해 정보처리력·분석력·이해력·기억력 감퇴 등을 예방한다. 문장 구조가 복잡한 책을 읽을수록 뇌를 더 활성화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07/2025020703099.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슈퍼 박테리아’ 퇴치 ‘슈퍼 항생제’ 등장 (0) | 2025.02.13 |
---|---|
스크랩 “할머니 냄새난대요”… 아이 고민에 교사의 답변 “그리운 냄새”, ‘따뜻한 위로’ 화제 (0) | 2025.02.13 |
스크랩 지난해 전세계 매출 1위 제약사는 ‘이곳’… 128조 달해 (0) | 2025.02.12 |
스크랩 담배 속 4000여종 독성 물질… 내년부턴 모두 공개한다 (0) | 2025.02.12 |
스크랩 집 안에 빨래 너는 사람, 꼭 보세요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