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그밖의 중요 질병

스크랩 납작 엉덩이여서 아프다? 통증 심하면 ‘이 질환’ 의심해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1. 31.

 
엉덩이에 살이나 근육이 적은데 오래 앉아있는 등 직접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좌골 점액낭에도 자극이 가서 염증이 생길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뼈가 만져질 정도로 엉덩이에 살과 근육이 없는 ‘납작 엉덩이’를 가진 사람이 많다. 엉덩이가 납작하면 앉을 때 남들보다 엉덩이 부위가 아프기 쉽다. 그런데, 통증이 갈수록 심해진다면 단순 체형 문제가 아니라 ‘좌골점액낭염’ 증상일 수 있다.

좌골점액낭염은 좌골 주위에 있는 점액낭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좌골은 골반 양쪽 아랫부분을 구성하는 뼈다. 좌골 주위에는 점액이 들어있는 주머니 모양의 조직인 점액낭이 있다. 엉덩이에 살이나 근육이 적은데 오래 앉아있는 등 직접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좌골 점액낭에도 자극이 가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면 발생 위험이 커진다.

좌골점액낭염이 생기면 염증이 골반 하부를 지나가는 좌골신경을 자극한다. 이로 인해 앉을 때마다 엉덩이가 욱신거린다. 환자들은 간혹 엉덩이 옆쪽, 골반 등에도 통증을 느껴 디스크 관련 질환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디스크 질환은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대부분 사라지는데, 좌골점액낭염은 쉬려고 앉았을 때 통증이 더 심해진다. 좌골점액낭염은 오히려 걷거나 서 있을 때 통증이 줄어든다.

좌골점액낭염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증상을 빠르게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병원 진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제때 치료하지 않아 악화하면 스테로이드 등 주사 치료를 받아야 할 수 있다. 심한 경우, 관절 안에 물이 차는 ‘관절수증’이나 꼬리뼈와 엉덩이뼈 연결 부위까지 손상되는 ‘천장관절증후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좌골점액낭염 예방에는 앉아있는 시간을 줄이는 게 도움이 된다. 앉을 땐 푹신한 곳을 찾고, 딱딱하다면 쿠션 등을 깔고 앉는 게 좋다. 엉덩이 근육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엉덩이 근육을 단련하는 데에는 ‘브릿지’ 자세가 효과적이다. 브릿지 자세는 똑바로 누워 무릎을 세우고 엉덩이를 들어 올리는 자세다. 이때 엉덩이 근육에 힘을 주면서 엉덩이를 들어 올리면 된다. 10초간 자세를 유지한 후 제자리로 돌아와 5초 휴식한다. 이를 10회 반복하는 것이다. 다만, 허리 통증이 있을 땐 시간이나 횟수를 줄이거나 휴식을 취하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2/2025012202773.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