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그밖의 중요 질병

스크랩 "레켐비·키순라, 알츠하이머 시장 규모 8배 키울 것"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1. 31.

 
알츠하이머병 신약 에자이 '레켐비'(왼쪽)와 일라이 릴리 '키순라'(오른쪽)/사진=에자이, 일라이 릴리 제공
알츠하이머병 의약품 시장 규모가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 '키순라(성분명 도나네맙)' 등 신약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10년 이내에 8배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재 미국·일본·유럽 등 주요 글로벌 국가에서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 규모는 각국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수준이지만, 10년 후에는 시장 규모가 8배 성장해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에 맞출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에자이의 '레켐비'나 일라이 릴리의 '키순라' 등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가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됐다.

◇2033년 시장 규모 27.7조 전망… 레켐비·키순라, 시장 주도 예상
영국 데이터 분석기업 글로벌데이터는 최근 보고서 '알츠하이머병: 8대 시장 약물 예측·시장 분석'을 발간했다. 글로벌데이터는 2023년 기준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 중국 등 주요 8개국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 규모가 총 24억달러(한화 약 3조4000억원)라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수요 대비 선택 가능한 치료 옵션이 부족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서구를 포함한 글로벌 인구가 꾸준히 고령화되고 있으나, 이들의 충족되지 못한 치료 선택지의 수요에 도달하기에는 아직 의약품 시장의 규모가 충분히 크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의 약 4%가 알츠하이머병 진단을 받았을 만큼 환자 숫자가 많은 상태다.

다만, 10년 후에는 글로벌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이 '원인 조절 치료제(DMT)'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2023년의 약 8배인 193억달러(한화 약 27조7000억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DMT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 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를 주요 표적으로 삼고 제거해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기전을 갖춘 신약을 말한다. 특히 글로벌데이터는 계열 신약들이 2033년 글로벌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 점유율을 73.5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체가 지목한 아밀로이드 베타 표적 DMT 신약은 에자이의 '레켐비'와 일라이 릴리의 '키순라' 등을 의미한다. 레켐비는 지난 2023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최초 아밀로이드 베타 표적 DMT 신약이다. 국내에서도 작년 11월 품목을 출시했으며, 현재 주요 상급 종합병원에서 비급여로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 키순라는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된 아밀로이드 플라크(판)의 제거를 도와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 저하 속도를 지연시키는 신약으로, 현재까지 FDA와 일본 후생노동성의 허가를 받은 상태다.

글로벌데이터 신경학 부문 필리파 살터 애널리스트는 "레켐비와 키순라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물이 될 것"이라며 "2033년까지 각각 36억달러(한화 약 5조1500억원)와 38억달러(한화 약 5조4500억원)의 글로벌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낮은 약물 접근성 지적… "약가·잦은 정맥주사 문제 개선 필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글로벌데이터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시장이 10년 후 실제로 8배 성장하기 위해서는 환자들의 약물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하는 요소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용 문제가 대표적이다. 현재 알츠하이머병 신약은 대부분의 글로벌 시장에서 비급여로 사용되는데, 약가가 기존 치료제보다 월등히 높아 경제적인 측면에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것.

투여의 불편함과 검사 과정에서 생기는 접근성 문제도 지적됐다. 특히 글로벌데이터는 "빈번한 정맥주사 투여는 알츠하이머병 신약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며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과 MRI(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점도 환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2/2025012202074.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