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배우 권상우(48)가 이제 흰머리가 나기 시작했다며 한 번도 염색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유튜브 채널 ‘지편한세상’에는 ‘지석진을 뛰어넘는 투머치토커들의 등장 | 지편한세상 정준호 권상우 황우슬혜 편’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는 배우 정준호, 권상우, 황우슬혜가 출연해 22일 개봉한 영화 ‘히트맨2’에 대해 지석진과 이야기했다. 지석진이 “히트맨 1편이 4년 전인데, 비결이 뭔지 모르지만 세 분은 나이를 안 드세요”라고 하자, 권상우는 “저는 나이가 드는 걸 느껴요”라고 말했다. 권상우는 “저는 염색을 한 번도 안 해봤는데 흰머리가 작년부터 제 눈에 보이기 시작했어요”라고 말했다. 정준호가 “지금은 염색한 거 아니냐”고 묻자, 권상우는 염색모가 아니라고 답해 출연진과 제작진을 놀라게 했다. 권상우는 “와이프가 뽑아주면 꽤 많이 뽑는다”라며 노화를 체감한다고 전했다. 흰머리는 모낭 세포가 노화하고 나이가 들면서 멜라닌 색소가 부족해서 생긴다. 그런데, 흰머리를 억지로 뽑으면 탈모가 생길 수 있다. 모공 하나에서 나는 총 머리카락 개수는 약 25~35개로 한정돼 있다. 정해진 개수를 넘게 뽑으면 모공에서 머리카락이 자라지 않을 수 있다. 모낭을 자극해 생기는 견인성 탈모가 생길 수도 있다. 견인성 탈모는 머리카락을 뽑거나 잡아당길 때, 머리를 세게 묶을 때 발생한다. 두피에 자극을 가하면 모근이 약해지고, 약해진 모근에는 새 머리카락이 잘 나지 않는다. 따라서 모발 건강을 생각한다면, 흰머리를 뽑기보다는 살짝 자르거나 아예 염색하는 게 낫다. 다만, 염색을 자주 하는 것도 건강에 좋지 않다. 염색약에는 암모니아, 파라페닐렌다이아민(PPD), 과산화수소 등 많은 화학성분이 포함돼 있다. 이 중 파라페닐렌다이아민(PDD) 성분은 두피나 손을 통해 들어가 몸속 장기에 악영향을 주고, 암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방광암은 여러 역학연구를 통해 염색약과 관련 있다는 게 확인됐다. 2001년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1514명의 방광암 환자와 일반인을 조사한 결과, 염색약을 한 달에 한 번 일 년 이상 사용하는 여성은 방광암에 걸릴 위험이 2배 컸고, 15년 이상 사용한 여성은 3배 컸다. 연구팀은 염색약 속 PDD 성분이 대사 과정에서 방광에 머물며 방광 세포에 변이를 일으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이외에도 염색약의 화학물질이 에스트로겐 분비에 문제를 일으켜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률을 높인다는 연구도 있다. 흰머리를 염색하고 싶다면 PDD 성분이 없거나 저농도로 들어 있는 염색약을 골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염색약은 3~4개월 이상 간격을 두고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권상우처럼 흰머리가 늦게 나게 하려면 평소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항산화물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면 도움 된다. 신체 대사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부산물인 활성산소는 모낭 속 세포의 색소 기능을 떨어뜨려 흰머리를 유발한다. 항산화물질은 이런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대표적인 항산화물질로는 비타민A·C·E로 과일과 채소에 많이 들어있다. ▲블루베리 ▲사과 ▲양배추 ▲시금치 ▲가지 ▲강낭콩 ▲검은콩 등이 해당한다. 또 ▲녹차 ▲홍차 ▲레드와인 ▲다크 초콜릿 등에도 항산화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갑상선을 관리하는 것도 흰머리 예방에 중요하다. 갑상선은 몸속 대사 과정을 촉진하고 모든 장기 기능을 유지하는 기관이다.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 세포 기능도 떨어진다. 이로 인해 색소 분비가 줄면 흰머리가 날 수 있다. 이외에도 갑상선 질환이 있으면 두피가 건조하고 탈모 증상도 동반되기도 한다. 따라서 흰머리를 방지하기 위해선 평소에 갑상선 건강을 지키는 게 좋다. 갑상선에 좋은 성분인 ▲요오드 ▲비타민 D ▲셀레늄 ▲마그네슘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스트레스도 흰머리의 원인일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나오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갑상선 호르몬 생산에 지장을 줘 흰머리를 유발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2/2025012202802.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머리 아픈데 약 먹긴 애매할 때… 두통 더는 음식 있을까? (0) | 2025.01.31 |
---|---|
스크랩 껌 삼켜도 큰 문제 없지만… ‘이 사람’은 병원 가봐야 (0) | 2025.01.31 |
스크랩 뇌혈관 좁아지면 기억력 감퇴… '이 음식' 피하고, 스트레스 관리를 (0) | 2025.01.30 |
스크랩 오랜만에 친척 모여 식사하는데, 악취가… ‘입 냄새’ 걱정 없애려면? (0) | 2025.01.30 |
스크랩 렌즈도 안 꼈는데 뻑뻑한 눈, 매일 하는 ‘이것’ 때문일 수도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