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력에 관여하는 생활습관 기억력 감퇴는 노화로 약해진 뇌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생활습관이 필요하다는 경고등이다. 사람의 뇌세포와 두뇌 활동은 16~18세까지 성장하고 활성화한다. 그 이후부터 기억력이 떨어지기 시작해 30대부터 순간순간 건망증이 나타난다. 이런 기억력 감퇴는 정상적 노화 현상이지만, 일부는 경도인지장애 등으로 이어진다. 기억을 관장하는 뇌 부위인 해마에는 '뇌줄기세포'가 있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올바른 습관을 유지하면 평생 동안 뇌신경세포가 만들어지면서 기억력이 다시 좋아지고 오래 유지된다. 기억력에 관여하는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기억력은 뇌신경세포를 죽이는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독성 물질이 쌓이면서 시작된다. 이 물질이 누적돼 기억력에 영향을 일으키는 시점은 사람마다 다르다. 흡연이나 기름진 식습관 등으로 뇌혈관이 빨리 좁아지는 사람일수록 기억력 감퇴도 빨리 온다. 혈류를 통해 해마에 영양을 공급하고 독성물질을 비롯한 노폐물이 빠져나가야 하는데, 혈관이 좁아지면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뇌세포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단기 기억을 장기기억화 시키는 해마의 세포가 손상을 입으면 최근에 생겼던 일부터 기억이 나지 않게 된다. 치매는 가족력이 있지만, 기억력 감퇴는 개인 차이가 있을 뿐 집안 내력은 없다. 스트레스도 기억력 감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해마를 녹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기 기억이 장기기억화 되는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 외에, 의식을 잃는 정도의 외상을 입어도 기억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외상 때문에 순간적으로 뇌혈류량이 줄면 뇌세포가 죽고, 영구적으로 재생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뇌 중에서도 특히 외상에 약한 해마가 큰 충격을 받으면 세포가 영구적 손상을 입어 기억력에 영향을 준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1/2025012102028.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껌 삼켜도 큰 문제 없지만… ‘이 사람’은 병원 가봐야 (0) | 2025.01.31 |
---|---|
스크랩 권상우, “47세 돼서야 흰머리 나기 시작”… 모낭 천천히 늙게 하는 법은? (0) | 2025.01.31 |
스크랩 오랜만에 친척 모여 식사하는데, 악취가… ‘입 냄새’ 걱정 없애려면? (0) | 2025.01.30 |
스크랩 렌즈도 안 꼈는데 뻑뻑한 눈, 매일 하는 ‘이것’ 때문일 수도 (0) | 2025.01.29 |
스크랩 ‘이곳’ 가려운 것, 스트레스 많다는 의외의 신호일 수도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