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GCiXr/btsLXVfaJyF/TOWSuE40JKsKvirRFyRHjK/img.jpg)
고관절 골절은 특히 노인이 조심해야 한다. 고관절은 인체에서 슬관절 다음 두번째로 큰 관절로, 몸통과 다리를 연결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걷기와 달리기 같은 다리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고령자가 고관절 골절을 겪으면 와병 생활로 인한 폐렴, 욕창 등의 합병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분당제생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고관절 골절 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2014년 3만1629명에서 2023년 4만1809명으로 늘어났다. 연령, 성별로는 80세 이상 여성이 3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70대 여성 20.6%, 80세 이상 남성 9.1%, 60대 여성 8.4%, 70대 남성 8.1% 순이었다. 분당제생병원 정형외과 신근영 과장은 “고관절 골절은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젊은 사람은 넘어지더라도 가벼운 타박상이나 찰과상에 그치지만, 노년층은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약해져 있고, 관절을 둘러싸는 인대와 근육 역시 약해서 고관절 골절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고관절 골절이 위험한 이유는 한번 골절이 발생하면 2차 골절 발생 위험도가 올라가고, 2차 골절이 발생한 경우 사망률이 일반인보다 훨씬 높기 때문이다. 신근영 과장은 “고관절 골절이 발생한 경우에는 극심한 통증과 함께 보행이 불가능하고 장기간의 침상 안정이 불가피하므로 이에 따른 욕창이나 폐렴 등의 합병증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고관절 골절 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가능한 환자를 빨리 움직이게 해서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고관절 골절의 경우 대부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고 골절 부위를 금속으로 고정하거나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수술을 한다. 노년층의 고관절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욕실에 미끄럼 방지 매트와 손잡이를 설치하는 게 좋다. 조명을 밝게 유지하고 걸리기 쉬운 물건을 치우는 등 낙상 예방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발에 꼭 맞고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신발을 신는 게 좋고, 균형 잡힌 식생활과 함께 칼슘과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 신 과장은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경우 뼈가 골절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평소 골밀도 검사를 하고, 필요할 경우 적절한 약물을 처방 받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무리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력 약화 방지를 위한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골절을 방치하면 골절된 뼈가 더 어긋나거나 골절편이 주위 조직을 찔러 부상을 키울 수 있다. 통증이 심하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해 검사받기를 권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1/22/2025012201179.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관절염, 오십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의학칼럼] 겨울철 빙판길 '삐끗' 한 번에, 발목불안정증과 골절까지? (0) | 2025.01.29 |
---|---|
스크랩 설 연휴 지나고 오는 허리 통증… '이 자세'만 안 해도 줄어 (0) | 2025.01.28 |
스크랩 허벅지 앞쪽 계속 아픈데… ‘허리 디스크’ 때문이라고? (0) | 2025.01.22 |
스크랩 “찬바람 불어도 달린다” 꺼지지 않는 달리기 열풍… 무릎 관절 보호하려면? (0) | 2025.01.20 |
스크랩 [의학칼럼] 추운 겨울 증상이 심해지는 허리디스크, 치료 부담 줄인 ‘양방향 척추 내시경'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