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스크랩 머리에서 갑자기 ‘이 느낌’ 들면 3명 중 1명 사망하는… “초응급 상황”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4. 12. 25.

망치로 때리는 듯한 두통, 뇌동맥류 의심
 
그래픽=최우연
평소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가 갑자기 망치에 얻어맞은 듯 극심한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초응급 질환인 뇌동맥류가 의심되니 재빨리 응급실로 가야 한다.

뇌동맥류는 머릿속 동맥혈관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것을 말한다. 얇아진 뇌혈관 벽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며 파열되면 뇌출혈로 이어진다. 증상이 전혀 없다가 인생에서 경험하지 못한 정도의 두통이 발생하고, 오심·구토나 뒷목이 뻣뻣한 증상이 동반된다. 심하면 두개골 내 압력이 올라가 의식 저하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환자 세 명 중 한 명이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고, 적기에 응급 수술을 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뇌동맥류는 40~70대에 흔히 발견되고, 크기는 2~50mm까지 다양하다. 혈관이 부푸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혈류역학적 원인에 의해 혈관 벽 내에 균열이 생기며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혈관 내 염증이나 외상 때문에 혈관 벽이 손상돼 생기기도 하고, 뇌동정맥 기형이나 모야모야병 같은 뇌혈관 질환에 동반되기도 한다. 흡연이나 고혈압 등이 뇌동맥류 발병 위험을 키운다. 또 가족 중에 뇌동맥류 환자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발병 위험이 약 4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방법은 크게 ‘클립결찰술’과 ‘코일색전술’로 나뉜다. 클립결찰술은 머리를 열고, 부풀어 오른 혈관 부위를 클립으로 집어 묶는 수술이다. 코일색전술은 머리를 열지 않고 허벅지 부위 대퇴동맥으로 1mm 이하의 얇은 백금 코일(철사)을 집어넣어, 뇌동맥류에 혈액이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수술이다. 치료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각자 나름의 장단점이 있다. 클립결찰술은 ▲재발이나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을 때 ▲환자가 젊을 때 ▲뇌 표피에 뇌동맥류가 생겼을 때 진행한다. 재발률이 낮지만, 뇌를 열고 수술해야 해서 환자에게 부담이다. 코일색전술은 뇌를 열지 않아도 돼 클립결찰술보다 부담이 적으므로 고령환자에게 많이 시행한다, 그러나 재발률이 비교적 높다는 게 단점이다.

기존 결찰술과 코일색전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치료 효과를 높인 새로운 치료법도 시행된다. 요즘은 클립결찰술을 눈썹이나 관자놀이에 3cm 이하의 작은 구멍을 내는 ‘미니(mini) 개두술’로 시행해 절개 부위를 최소화한다. 코일색전술로 치료하기 어려운 뇌동맥류나 25mm 이상 크기의 거대 뇌동맥류 치료에도 시술을 시도해볼 수 있다. 코일이 아닌 스텐트(그물망)를 삽입해, 혈류 방향을 바꾸는 ‘혈류 변환 스텐트 시술’가 대표적이다.

뇌동맥류는 수술·시술을 했다고 끝난 게 아니다. 아무리 수술이 잘 됐어도, 시간이 지나면 다른 곳에 또 뇌동맥류가 생길 수 있다. 발병 가능성을 키우는 요인부터 차단해야 한다. 담배는 끊고, 고혈압이 있다면 잘 관리해 혈압을 낮춘다. 코일색전술이나 스텐트 시술을 받은 사람은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며 꾸준히 추적 관찰한다. ▲가족력 ▲흡연자 ▲고혈압 환자 등 고위험군에 속하면 건강 검진할 때 뇌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 ▲뇌혈관 조영술 등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2/20/2024122001153.html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