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조선·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기획_멍냥주치의]
국내 1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시시콜콜한 의문이 많이 생기지만, 조언을 구할 곳은 마땅치 않습니다. 반려동물 질환에서 반려생활 노하우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한 번쯤 궁금했던 것들. 헬스조선이 1200만 반려인을 대신해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수의사에게 직접 물어보는 ‘멍냥주치의’ 코너를 매주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반려동물은 보호자에게 조건 없는 사랑을 준다. 이에 공황장애·우울증 등 정신 질환이 있을 때 반려동물과 교감하는 게 좋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그러나 무작정 입양하기에 앞서, 제대로 돌볼 수 있을지 한 번쯤은 생각해봐야 한다. 반려동물의 정서 건강은 보호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보호자 정서에 큰 영향 받아… 스트레스로 이상 반응 보일 수도 사람이 타인의 마음을 완전히 헤아릴 수 없듯, 반려동물도 보호자 마음을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보호자 정서에는 영향을 받는다. 반려동물은 보호자의 행동을 보고 기분을 파악할 수 있다. 보호자가 자신에게 어떤 행동으로 애정을 표현하는지 안다. 보호자가 그 행동을 자주 하면 반려동물 자신도 보호자에게 애정표현을 되돌려준다. 반대로, 보호자가 기분이 나쁠 때 주로 하는 행동도 인식하고 있다. 반려동물의 세상에서 보호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굉장히 크므로 보호자 정서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스카이동물메디컬센터 인천점 문종선 원장은 “보호자가 무기력해 반려동물과 애정표현을 충분히 주고받지 않으면 신뢰가 쌓이지 않고, 정상적 관계가 구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보호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면 칭찬과 훈육 기준이 일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똑같은 행동을 어떤 때에는 칭찬하고, 어떤 때에는 혼내는 식이다. 문종선 원장은 “자신이 왜 혼나야 하는지 모른 채로 혼나는 일이 반복되면 혼란스러워지고, 스트레스도 쌓인다”고 말했다. 이것이 이상 행동으로 이어지곤 한다. ▲구석에 숨어서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침울하게 있거나 ▲자기 대변을 먹거나 ▲폭식하거나 ▲식사를 아예 거부하거나 ▲주변 자극에 과민반응해 자꾸 짖거나 ▲지나치게 소심해지는 게 그 예다. ◇우울증 있어도 기를 수 있지만, 충분히 교감할 수 있나 점검 공황장애나 우울증이 있다고 반려동물을 무조건 기르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들이는 것에 신중해질 필요는 있다. 문종선 원장은 다음의 네 가지를 확인해보길 권한다. 자신이 반려동물과 충분한 정신적 교감을 할 준비가 되었는지 살펴야 한다. 반려동물은 사람과 달리 보호자에게 조건 없는 사랑과 관심을 준다. 보호자 역시 반려동물에게 사랑과 노력을 되돌려줘야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함께 살며 반려동물을 공동으로 돌볼 사람이 있는 게 가장 좋다. 보호자가 정서적으로 힘들어 반려동물에게 잠시 신경 쓰지 못하더라도, 동거인이 반려동물을 챙기고 정서적으로 교감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보호자가 직접 반려동물과 소통하도록 동거인이 도울 수도 있다. 동거인이 없더라도, 반려동물이 방치되는 건 아닌지 가끔 확인할 지인이 한 명은 있어야 한다. 동물을 사랑해서 반려동물을 들였지만, 보호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해 제대로 돌보지 못할 수 있다. 보호자도 무척 힘겹겠지만, 현행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이는 엄연한 동물 학대다. 언젠가 반려동물의 투병과 임종을 지켜보게 된다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 반려동물은 사람보다 노화가 빠르고 수명이 짧다. 15년 산다고 가정하면, 마지막 5년은 각종 질환으로 고생할 가능성이 크다. 아픈 반려동물을 돌보느라 병원비가 많이 지출될 수 있고, 간병으로 보호자의 일상생활이 과거와 달라질 수도 있다. 문종선 원장은 “반려동물에게 ‘이 정도 돈은 써야 한다’ 같은 절대적 기준은 없다”며 “그러나 자신의 역량 안에서, 최선을 다해 사랑하고 돌볼 수 있는지는 성찰해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반려동물도 활력 잃은 것 같다면 동물병원 데려가야 보호자 정서가 반려동물에게 전이돼 활력을 부쩍 잃은 것 같다면, 동물병원에 데려와 보는 게 좋다. 몸에 질병이 생겨서 기력이 떨어진 것인지, 정서적 문제로 무기력해진 것인지 구별해야 한다. 검사 결과 원인으로 의심할만한 질병이 딱히 없고, 보호자 이야기와 반려동물이 보이는 소극적 행동 양상을 종합했을 때 우울증이 의심되면 약물치료를 시도한다. 문종선 원장은 “반려동물이 극도로 무기력해져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라면 약물치료가 필요하다”며 “약물로 교감신경을 자극하거나 세로토닌 호르몬 작용을 활성화해 기분이 너무 침체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2/06/2024120602373.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마이온리독 My Only D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열다섯 배 더 비싼데… ‘대변 냄새’ 못 잡는 반려동물 탈취제는? (0) | 2024.12.14 |
---|---|
스크랩 “동물용 구급차 적어… 보호자가 심폐소생술 할 줄 알아야” [멍멍냥냥] (0) | 2024.12.13 |
스크랩 반려동물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것’ 때문에 싫다는 사람 증가 [멍멍냥냥] (0) | 2024.12.09 |
스크랩 나이 들면 심장 약해지는 건 당연한데… 노령견 ‘심장약’ 꼭 필요한가요? [멍멍냥냥] (0) | 2024.12.05 |
스크랩 서울시 예산 수 억으로 연천에 반려동물 테마파크? [멍멍냥냥]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