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하는 물가에 난방비 폭탄을 맞진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추운 날씨에 건강을 지키려면 실내 난방은 필수다. 하지만 고공행진하는 물가에 난방비 폭탄을 맞진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난방비를 조금이나마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뽁뽁이, 실내 온도 약 2~3도 정도 높여 실내 온도가 내려가는 가장 큰 원인은 외벽과 창문이다. 새는 열만 잘 잡아도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단열 벽지, 문풍지, 뽁뽁이 등으로 실내 온도는 약 2~3도 정도 높일 수 있다. 뽁뽁이는 단열재로 기포가 들어간 폴리에틸렌 필름을 말한다. 뽁뽁이는 창문을 깨끗이 닦은 뒤, 물과 세제를 10 대 1로 섞어 뿌려 창문에 붙이면 된다. 3중창이나 로이창은 충분히 실외 바람을 막아줘 굳이 뽁뽁이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벽면에 포스터, 액자를 붙이거나 책상을 세우는 것 역시 벽과 물체 사이 공기층을 만들어 방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보일러 내부 청소, 난방비 10%절감 보일러를 켜도 실내 온도가 좀처럼 올라가지 않고, 난방비만 많이 나온다면 보일러를 청소해 보자. 보일러 내부 청소를 해주면 타면서 생긴 그을음이나 불순물이 없어져 열효율이 높아진다. 또 보일러 관 안에 이물질을 제거하면 온수가 원활하게 돌면서 난방 효과가 올라간다. 이것만으로도 난방비를 10% 정도 절감할 수 있다(산업통상자원부 자료). ◇내복 착용, 3℃의 보온 효과 실내 온도를 높이지 않고 내복, 수면 잠옷, 덧신 등으로 체감온도를 높이는 것도 방법이다. 체감온도는 내복을 입으면 3℃의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경부가 진행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실내 온도 19도에서 내복을 착용한 경우 실내 온도 22℃를 유지한 것과 동일한 피부 온도를 보였다. 이 외에도 카디건을 입거나 무릎담요를 덮으면 2℃, 양말을 신으면 0.6℃ 정도 올라간다고 알려졌다. 2~3도만 높아졌다고 느껴도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다. ◇40~60%의 습도, 실내 온도 빠르게 높여줘 의외로 습도를 잘 조절하면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습도를 40~60% 정도 유지하고, 보일러를 가동하면 공기 순환이 빨라져 실내 온도가 빠르게 상승한다. 수분이 열을 오랫동안 머금어 열을 오래 간직해 보일러 사용 시 온도가 빨리 상승한다. 습도는 가습기를 이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걸어 두면 높일 수 있다. ◇커튼, 카펫, 러그… 보일러 온기 가둬 바닥에 카펫, 러그 등을 깔면 보일러 온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커튼 역시 마찬가지다. 커튼은 이중으로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길게 설치해야 보온 효과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전기장판, 온수 매트 등 전기 난방기구를 이용할 때도 위에 수건이나 담요 등을 깔면, 난방기구 전원을 꺼도 온기가 오랫동안 유지된다. ◇보조 난방 기구, 창문 밑에 두기 히터나 온풍기 등 보조로 트는 난방 기구는 가능하면 방 가운데보단 창문 가까이, 아래쪽에 두는 게 좋다. 더 효율적으로 방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는 본래 기온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며,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특징이 있다. 창문 가까이 아래쪽에 보조 난방 기구를 두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찬 공기부터 데워 온기를 집안 전체로 고루 퍼뜨릴 수 있다. 다만, 전기 난방 기구를 무턱대고 장기간 사용하면 자칫 난방비를 아끼려다가 오히려 전기료 폭탄을 맞을 수 있다. 보조 난방 기구는 하루 1~2시간 이내로 쓰는 게 좋다. 전기를 쓰는 게 부담스럽다면 물주머니 등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뜨거운 물을 담은 물주머니를 담요에 감싸 배나 다리 등에 올려두면 체온이 올라가고,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1/21/2023112102180.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경섬유종증 치료제, 우리가 조사"… 인권위가 약 조사 나선 이유 (0) | 2023.11.24 |
---|---|
스크랩 아침 양치질, 일어나자마자 vs 식사 후… 언제가 좋을까? (0) | 2023.11.24 |
스크랩 올해 많은 눈 내릴 예정… ‘이것’ 뿌려야 피해 적어 (0) | 2023.11.23 |
스크랩 주차한 곳 도무지 기억 안 날 때, 손쉽게 찾는 꿀 팁 (0) | 2023.11.22 |
스크랩 넘어진 뒤 아픈 손목… 방치하면 뼈 괴사까지? (0)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