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감염위험 없게… '코로나바이러스' 추출하는 원격 기기 개발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2. 20.

경희대 화학공학과 서태석 교수 연구팀이 연구자의 음성 명령을 따라 바이러스 핵산을 자동 추출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했다./사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경희대 화학공학과 서태석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 앱으로 음성을 인식해 작동하는 ‘바이러스 진단 마이크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이 진단 시스템은 검사자가 음성으로 내리는 명령을 따라 병원체의 게놈 RNA 또는 DNA를 분리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병원체를 분자 진단하는 과정에 검사자가 직접 참여하지 않아도 돼 감염 가능성이 원천 차단된다. 서태석 교수는 “환자의 시료가 유출돼 검사자의 장갑을 오염시키는 등 예상치 못한 잠재적 감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분자 진단 과정의 효율성이 높아진 것도 장점이다. 바이러스의 핵산을 추출하려면 여러 시약을 마이크로미터 단위에서 정밀하게 조작해야 한다. 기존엔 진단 정확도를 높이려 부피가 큰 장비를 투입했으나, 서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휴대용 바이러스 진단 마이크로시스템은 손바닥만하다.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내리면 스마트폰이 이를 수신해 블루투스로 마이크로시스템에 전달한다. 서 교수는 “기기를 사용하면 1분 이내로 핵산 추출 과정이 완료된다”며 “보조 배터리나 스마트폰 충전기로도 충전할 수 있어 전력 소비량도 적다”고 말했다.

이어 서 교수는 “코로나바이러스 시료의 전처리 과정뿐만 아니라 특정 유전자를 증폭해 검출하는 분자 진단의 전 과정을 단순한 스마트폰 명령만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며 “질병통제센터뿐만 아니라 노인이나 장애인들도 집에서 바이러스를 자가 진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진흥원이 지원하는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사업의 하나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ACS 센서(ACS Sensors)’에 이번 달 1일 온라인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15/20230215025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