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안암병원 유방내분비외과 김훈엽 교수 경구 로봇 갑상선 수술 1000례 달성 기념 심포지엄./사진=고대안암병원
고대안암병원 유방내분비외과 김훈엽 교수가 최근 경구 로봇 갑상선수술(TORT) 1000례를 달성하고 기념 심포지엄을 가졌다. 기념 심포지엄은 지난 18일 대한 최소침습 로봇내시경 갑상선 수술 연구회(MIRET)의 주최로 진행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경구 갑상선 수술의 역사와 현재까지의 결과를 살펴봤으며, 실제 경구 로봇 갑상선 수술을 집도하는 김훈엽 교수와 그 전후 관리를 함깨 시행하고 있는 김훈엽 교수의 팀원들이 각자 본인들의 실제적인 팁과 노하우를 공유했다. 경구 로봇 갑상선 수술은 환자들에게 흉터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집도의들에게도 만족할 만한 이상적인 수술 결과를 제공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어 갑상선수술분야를 대표하고 있는 국내 여러 의료진들이 모여 향후 로봇 갑상선 수술이 발전해 나갈 방향에 대해 예측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이날 심포지엄 중에는 김훈엽 교수와 같이 로봇경구갑상선수술법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거나, 수술법을 배워간 미국, 이탈리아, 폴란드, 터키, 브라질, 중국, 대만, 홍콩, 태국 등 전 세계의 많은 석학과 유명 교수들이 축하영상을 전해 눈길을 끌었다.
김훈엽 교수는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은 현존하는 갑상선수술 중 가장 발전한 술기”라며 “암의 제거라는 궁극적인 목표 뿐만 아니라, 흉터와 부작용이 없길 바라는 환자들에게 가장 맞춰진 수술법”이라고 했다. 이어 “1000례의 경험을 거치며 술기를 더욱 발전시켜왔고, 최상의 갑상선수술로 자리매김했다”며 “앞으로도 환자에게 가장 좋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훈엽 교수의 경구로봇갑상선수술은 입안을 통해 턱 밑으로 수술용 로봇팔을 넣어 갑상선을 수술하는 방법이다. 흉터가 남지 않는다. 입안으로 로봇팔이 들어가 다른 조직과 기관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갑상선만 정교하게 절제하는 수술로, 부작용과 후유증을 가장 최소화해 개발 당시부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3/29/2022032901110.html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칼럼] 전립선동맥색전술과 성기능 문제, 관련 있을까? (0) | 2022.04.23 |
---|---|
스텐트 시술 후 판막혈전증 예방 '이 약' 효과 더 좋다 (0) | 2022.04.09 |
"90대 심근경색 환자, 관상동맥중재술이 사망률 낮춰" (0) | 2022.03.26 |
알쏭달쏭 허리디스크의 다양한 시술법 (0) | 2022.03.22 |
절개 없이 전립선 묶어… 1회 시술로 배뇨장애 개선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