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수술

절개 없이 전립선 묶어… 1회 시술로 배뇨장애 개선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3. 6.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길명철 원장은 “전립선결찰술은 기존 수술의 단점을 상쇄한 시술법으로, 만성질환자나 고령자도 부담 없이 시술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전립선비대증은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높아지는 대표적인 남성 노화성 질환이다. 중년 남성 절반, 특히 80대 이상 노년층에서는 80~90%가 전립선비대증 진단을 받았거나 증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길명철 원장은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은 공통적으로 배뇨장애를 호소한다"며 "심한 경우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고 우울증, 자신감 저하 등 심리적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빨리 검사·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요폐 증상으로 이어지면 신장 기능에도 영향

방광 아래에 위치한 전립선은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인 요도를 감싸고 있다. 정상적인 전립선은 길이 4㎝, 폭 2㎝ 정도 크기지만, 나이가 들면 호르몬 변화 등에 의해 최대 6~7배까지 커질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뇨장애는 '자극 증상'과 '요폐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소변줄기가 가늘어지는 '세뇨'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빈뇨' ▲소변을 본 후에도 소변이 남아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잔뇨감' ▲소변을 참기 힘든 '급박뇨' ▲잠에서 깨 소변을 보게 되는 '야간뇨' 등은 모두 초기에 나타나는 자극 증상이다. 이 상태에서 전립선비대증을 방치할 경우 증상이 악화돼 요폐 증상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아랫배에 힘을 줘도 소변 배출이 어려워진다. 길명철 원장은 "요폐 증상은 치료가 매우 시급한 상황에 속한다"며 "비대해진 전립선이 소변길을 막아 배뇨가 안 되면, 신장 기능이 약해져 소변줄에 의존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약물·수술 치료 가능하지만 부작용·출혈 우려

전립선비대증은 내과적 약물 치료와 외과적 수술 치료가 모두 가능하다. 초기에는 약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약물은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지연시킬 뿐 비대해진 전립선 크기를 줄이지는 못한다. 약물 치료가 궁극적인 치료법이 될 수 없는 것 또한 이 같은 이유다. 많은 중년 남성이 배뇨 증상을 노화 현상 정도로 여겨 약물에 의존하지만, 정확한 진단 과정 없이 무조건 약물 복용을 이어간다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는 것은 물론, 약물 부작용을 겪을 위험도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TURP)과 같은 수술 치료를 고려하며, 수술 부담을 줄인 레볼릭스레이저, 홀뮴레이저 전립선기화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다만 이 같은 치료 역시 조직을 절개하거나 레이저로 태우는 과정에서 출혈 등과 같은 부담이 따르므로, 환자에게 최후 치료 수단이 돼야 한다.

◇수술 대신 전립선결찰술로 묶어서 치료

전립선결찰술은 수술 치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최신 치료법이다. '결찰사' 이식을 통해 전립선을 묶는 비수술 치료로, 평생 복용해야 하는 약물과 달리 1회 시술만으로 배뇨장애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최소 침습으로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해, 회복 기간, 마취, 입원 등에 대한 부담도 덜 수 있다. 이밖에 소변줄을 유지할 필요 없이 바로 퇴원이 가능한 점, 당일 저녁 성관계가 가능할 정도로 회복이 빠른 점, 시술 시간이 짧은 점(15~20분) 역시 장점으로 꼽힌다.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인정받으면서 2015년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로 지정되기도 했다. 길 원장은 "전립선결찰술은 기존 수술의 단점을 상쇄한 시술법"이라며 "만성질환자, 고령자도 부담 없이 시술받을 수 있고, 내시경 방식으로 진행돼 국소마취로 진행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안전하게 시술받으려면 철저한 검사 필요

안전한 시술을 위해서는 치료 전 철저한 진단 과정을 거쳐야 한다. 배뇨장애 원인과 과거 병력 등을 파악하기 위한 상담은 기본이며, 소변 검사·초음파검사와 함께 전립선암·전립선염과 감별 진단할 수 있는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 또한 필요하다. 최근에는 1회 채혈로 10분 안에 PSA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빠른 검진 시스템도 갖춰졌다. 병원에서는 검사 후 전립선 크기, 증상에 따라 전립선결찰술을 비롯한 여러 치료법을 제안한다. 전립선이 80g 이상 비대해진 환자 역시 주위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기화·절제를 동시 진행할 수 있는 레이저 장비를 이용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 길명철 원장은 "전립선비대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급성 요폐, 신부전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며 "성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위험이 높으므로, 40대 이상 남성이라면 정기적인 전립선 검사를 통해 질환을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3/01/202203010102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