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박승정 교수
타비(TAVI) 시술이라 불리는 대동맥판막 스텐트 시술 후 혈전 위험을 줄이는데 항혈소판제보다 항응고제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타비 시술 후에는 불가피하게 혈전증이 10~30% 발생하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약물사용법이 확인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박승정 교수팀은 한국, 홍콩, 대만에서 타비 시술을 받은 229명을 대상으로 항응고제인 에독사반과 이중항혈소판제(아스피린+클로피도그렐) 복용 군을 무작위 배정해 다기관 국제임상연구를 진행한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항응고제 사용자의 판막혈전증 발생률은 이중항혈소판제 사용자보다 낮았고, 뇌색전증과 뇌신경, 신경인지기능 장애 발생률에는 전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동맥판막이 딱딱하고 좁아지는 대동맥판막협착증 치료를 위한 타비 시술 후에는 판막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와 같은 항혈전제를 복용해야 한다. 항응고제는 항혈소판제보다 혈전 예방 효과가 크다. 하지만 출혈 위험도 더 크기 때문에 나이가 많거나, 부정맥이 있는 등 혈전증으로 인해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환자 위주로 사용해왔다.
이번 연구는 항응고제요법이 항혈소판제보다 판막혈전증 발생률이 낮으면서, 뇌 색전증 등의 위험은 항혈소판제와 같은 수준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이 항응고제(에독사반, 111명)와 이중항혈소판제(아스피린+클로피도그렐, 118명) 복용 군을 무작위 배정하고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를 보면, 항응고제 사용자의 판막혈전증 발생률은 9.8%였고, 항혈소판제 군의 판막혈전증 발생률은 18.4%였다. 타비 시술 후 항응고제요법이 이중항혈소판요법보다 판막혈전증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반면, 타비 시술 1주일 이내와 6개월 후 두 차례에 걸쳐 MRI와 신경학적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는 항응고제 군과 항혈소판제 군의 뇌 색전증이나 뇌신경 및 인지기능 장애 발생률에 전혀 차이가 없었다.
박덕우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타비 시술 후 판막혈전증 발생과 뇌 색전증 발생의 무관함을 입증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판막혈전증이 뇌 색전증을 유발한다는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CT상 확인되는 판막혈전증은 영상의학적 현상에 불과하기 때문에 환자마다 상이한 임상적 상태와 안정성, 유효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해 항혈전제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심장 분야 최고의 권위지인 ‘서큘레이션(Circul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4/05/2022040502074.html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칼럼] 인공관절 수술 미루고 싶다면… '초음파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고려해야 (0) | 2022.05.14 |
---|---|
[의학칼럼] 전립선동맥색전술과 성기능 문제, 관련 있을까? (0) | 2022.04.23 |
김훈엽 교수, 경구로봇갑상선수술 1000례 돌파 (0) | 2022.03.31 |
"90대 심근경색 환자, 관상동맥중재술이 사망률 낮춰" (0) | 2022.03.26 |
알쏭달쏭 허리디스크의 다양한 시술법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