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수술

[스크랩] 3~4기 두경부암도 입으로 로봇 팔 넣어 제거… 생존율 크게 높아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2. 21.

두경부암 로봇수술

입·코·목·혀에 생기는 두경부암은 여러 기관이 촘촘히 붙어있고 뇌와 가까이 있어 암을 도려내기가 쉽지 않다. 특히 혀뿌리·편도·하인두·후두에 생기는 암〈그래픽〉은 의사가 손을 넣어서 수술하기가 어려워 턱뼈와 혀를 자르든지 후두를 자르고 수술을 해야 했다. 마치 병 안에 구슬이 있는데, 그 구슬을 제거하기 위해 병을 부수는 것과 같은 접근법이었다. 이런 수술을 하면 먹고 말하고 숨쉬는,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기능을 잃었다. 환자는 암이 완치돼도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야 했다. 아니면 수술을 포기해야 했다. 로봇수술이 도입되면서 두경부암 치료의 판도가 완전히 바뀌었다. 턱뼈를 가르는 대신 입에 로봇 팔과 내시경을 넣

진행된 암에도 적용, 생존율 20% 이상 향상
세브란스병원, 세계 3번째 '다빈치 SP' 도입
김세헌 센터장 "수술 후유증 줄고 조기 회복"

어 암만 도려내는 경구강 로봇수술을 하게 되면서 환자의 삶의 질은 물론 치료 결과도 월등히 좋아졌다. 연세암병원 두경부암센터 김세헌 센터장은 두경부암 로봇수술의 선구자로, 2008년 국내 최초로 두경부암 로봇수술을 시작했다. 하인두암·후두암 같이 입속 깊은 곳에 있는 암을, 세계 최초로 로봇수술을 통해 제거했고, 2014년부터는 초기암뿐만 아니라 진행된 혀뿌리암·편도암·하인두암·후두암에도 로봇수술을 적용한 치료법을 개발해, 생존율을 20% 이상 향상시켰다.

혀뿌리·편도·하인두·후두에 생긴 암을 로봇으로 제거하면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 연세암병원 두경부암센터 김세헌 센터장은 최근 진행된 암도 로봇을 적용해 생존율을 크게 높였다./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제공
두경부암 로봇수술, 최소침습·기능보전 가능

로봇을 이용하면 입안의 병소를 최대 10배 확대하고 3차원으로 볼 수 있다. 로봇 팔이 좁은 공간 안에 들어가 수술 의사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절제를 할 수 있다. 김세헌 센터장은 "두경부암은 해부학적 특성상 최소침습 수술이 중요하다"며 "로봇수술은 두경부암에 최적화된 수술"이라고 말했다. 경구강 로봇수술은 2007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초기 편도암과 혀뿌리암에 시행됐다. 김세헌 센터장은 편도암·혀뿌리암 수술에 이어 조금 더 입속 깊숙이 위치한 하인두암과 후두암 수술에 로봇을 적용했다. 2014년부터는 기존에 시행되지 못했던 3~4기 진행된 암에도 로봇 수술을 하고 있다. 3~4기의 경우는 암 크기가 커서 수술이 불가능해 항암·방사선 치료가 최선이었다.

진행된 두경부암에서 새 치료법 개발

김세헌 센터장은 진행된 두경부암에서 유도 항암요법을 도입했다. 큰 암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항암요법을 먼저 하고, 암 크기가 줄어들면 로봇을 적용해 잘라낸 뒤 잘라낸 암의 병리학적 특성에 따라 방사선 치료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김세헌 센터장은 "잘라낸 암의 단면에 암세포가 보이지 않으면 방사선 치료를 하지 않거나 방사선 세기를 줄여 치료를 한다"며 "환자에 따라 방사선으로 생기는 조직 섬유화 등의 부작용을 막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반대로 잘라낸 암세포가 혈관·림프관을 침범하는 악성도가 높은 암세포라면 방사선 세기를 높여서 치료를 한다.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환자의 생존율은 월등히 높아졌다. 또한 로봇으로 암을 도려내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 효과도 높다. 암덩이가 클수록 암 중앙에는 방사선 효과가 경감된다.

김세헌 센터장은 이런 치료법을 적용한 환자의 생존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편도암·혀뿌리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8%였다. 항암·방사선요법만으로는 5년 생존율이 최대 50%를 넘지 못했다. 하인두암·후두암은 3년 생존율이 69%였다. 역시 기존 치료 시 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였다. 이 결과는 2017~2018년 외과학계에 유수 저널인 외과임상종양학회연보(Annals of Surgical Oncology)에 게재됐다. 지난해에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세계두경부암학회에서는 두경부암의 새 치료법에 대해 전 세계 의사들에게 강의를 하기도 했다.

◇다빈치 SP, 두경부암에 최적화된 로봇 도입

최근에는 다빈치 SP(single port)가 도입돼 경구강 로봇수술이 훨씬 용이해졌다. 입안으로 들어가기 쉽도록 장비 자체가 소형화된 데다, 로본 본체 한 개를 구강에 삽입하면 로봇 팔과 내시경이 나와 수술을 할 수 있다. 내시경은 유연하게 구부러지기도 한다. 다빈치 SP는 지난해 10월 전 세계 3번째로 세브란스병원에 도입됐고, 김세헌 센터장은 다빈치 SP를 이용한 혀뿌리암 라이브 수술을 진행, 미국·일본·대만·싱가포르 등 총 28개국 100여 명의 의사들이 실시간으로 지켜봤다. 김세헌 센터장은 "다빈치 SP가 도입돼 두경부암 환자들의 수술 후 후유증은 더욱 줄고 회복은 단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17/2019021700921.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