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유방암센터가 최근 국내 단일 의료기관 최초로 유방암 수술 3만 례를 달성했다. 이를 기념해 서울아산병원은 최근 1995년부터 2014년까지 20년간 유방암 수술을 받은 국내 환자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전체 유방암 중 조기 유방암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고, 유방암 수술 환자 10명 중 8명은 여성의 상징인 가슴을 지켜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 전체 유방암 환자 중 조기 유방암(0기 및 1기) 환자 비율은 37.8%에 불과했지만, 2014년에는 57.8%로 약 1.5배 증가해 진행성 유방암 및 말기 유방암을 합한 비율을 넘어섰다. 이는 조기 발견 기술의 발달 때문인데, 이와 함께 치료법도 발달해 암 덩어리만 떼어내고 남은 가슴은 보존하는 ‘유방보존술(부분절제술)’을 받는 환자의 비율도 크게 증가했다.
1995년에는 10명 중 1명만이 유방보존술을 받았지만, 2014년에는 3명 중 2명이 유방보존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방보존술은 과거에는 암이 많이 진행도지 않은 0기 또는 1기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만 제한적으로 시행됐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술 전 항암치료 등 치료법 발달로 암의 크기를 줄여서 제거해야 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면서, 그 비율이 더 증가했다.
유방 전체를 절제해야 하는 나머지 3명 중 1명의 경우에도 유방암 수술과 동시에 보형물 등으로 유방의 형태를 복원해주는 수술인 ‘동시복원술’을 받는 환자들의 비율이 크게 높아졌다. 2005년에는 유방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약 24%만이 동시복원술을 받았지만 2014년에는 약 50%의 환자가 동시복원술을 받아 20년 사이에 동시복원을 받는 환자 비율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복원술의 수술 기법 자체도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동시복원수술을 통해 환자 자신의 피부만 보존하는 데 그쳤지만, 최근에는 환자 자신의 피부는 물론이고 유두까지 보존하는 환자들의 비율이 60%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적으로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 10명 중 8명은 유방보존술 또는 유방전절제 및 동시복원술을 통해 여성의 상징인 가슴을 지켜내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유방암센터 김성배 교수(종양내과 교수)는 “과거 유방 전체를 절제해야 하는 환자들이 최근에는 수술 전 항암요법 등을 통해 떼어내야 할 암의 크기를 줄여 유방보존술까지 가능한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앞으로 더욱더 많은 환자가 더 나은 치료법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 유방암센터는 연평균 2천 5백 건 이상의 유방암 수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과, 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성형외과, 핵의학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유기적인 협진 체계를 바탕으로 수술 전 항암요법 클리닉, 재발 클리닉, 젊은 유방암 클리닉, 유전성 유방암 클리닉 등 다학제 진료를 운영해 유방암 환자들의 성공적인 치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유방암센터 안세현 소장(유방외과 교수)은 “서울아산병원의 최근 10년간 유방암 5년 생존율은 92% 이상으로 이미 세계적 수준”이라며, “이에 만족하지 않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고민한 결과 암을 떼어냄과 동시에 유방을 복원하고, 피부는 물론 환자 자신의 유두까지 성공적으로 보존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13/2017111301584.html
'종류별 암 > 유방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이성 유방암 환자가 ‘생존기간 연장’보다 더 바라는 것은? (0) | 2017.11.22 |
---|---|
[스크랩] 유방암 치료신약 `이브란스·키스콸리` 영국내 약가 인하 (0) | 2017.11.16 |
[스크랩] `유방암` 성공적 치료 15년 후에도 재발할 수 있다 (0) | 2017.11.12 |
[스크랩] 노바티스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 이브란스 추격 새로운 임상 데이터 발표 (0) | 2017.11.12 |
[스크랩] 난치성 유방암, 조직검사 없이 진단 가능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