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지 않은 남성들이 40~50대가 되면 주간·야간 빈뇨가 생기고, 소변 줄기가 가늘어졌다는 이유로 병원을 찾는다. 대부분 전립선비대증이 원인이다. 전립선비대증은 60~69세 남성의 51%에서 임상적으로 진단되는 흔한 질환이다. 남성이 50세 이후에 전립선비대증으로 수술받을 확률은 약 10~25%에 달한다.
전립선 비대증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에 위치해 요도를 둘러싸는 전립선이 커지는 질환이다. 전립선은 호두 알 크기의 호르몬 기관으로 정액의 일부를 생성한다. 전립선이 커지면 요도가 좁아지면서 방광에서 나오는 소변 줄기가 가늘어지고, 잔뇨가 생긴다. 이차적으로 방광조직에 변화가 생기면서 소변을 잘 참지 못하는 절박뇨, 빈뇨가 생길 수도 있다. 소변이 막혀서 잘 배출되지 못하는 증상이 심해지면 방광이 과팽창돼 방광 기능이 회복되지 못할 수 있다. 고대안산병원 비뇨기과 배재현 교수는 "방광결석이나 요로감염, 신우신염으로 악화될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할 때 가장 중요한 검사는 바로 항문에 손가락을 넣어 전립선을 촉진하는 '직장수지검사'다. 이 밖에도 요류측정 검사, 소변검사, 전립선특이항원검사, 경직장초음파검사, 요도경 및 방광경검사 등을 통해 전립선비대증을 진단하고 전립선암을 감별한다. 전립선비대증의 치료는 커진 전립선 크기를 줄이거나 요도에 대한 압박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는데, 환자의 고통을 덜고 부작용을 줄여주는 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배재현 교수는 "내시경이나 로봇수술, 레이저를 이용하여 출혈이 최소화되고 입원이 필요 없는 최소 침습적 치료방법 등이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배재현 교수는 “빈뇨, 잔뇨감 등의 배뇨장애가 지속돼 다른 합병증이 나타나기 전에 신속히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며 “전립선비대증을 조기에 치료하면 고통을 최소화하고 삶의 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남성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립선비대증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치료 없이 관찰하며 온수좌욕, 절주, 맨손체조 등의 생활요법만으로 증상을 완화하기도 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20/2017022001508.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위눌림, 자는 자세만 바꿔도 사라진다? (0) | 2017.02.26 |
---|---|
[스크랩] 항생제 사용량 처음으로 감소… 여전히 OECD 중 1위 (0) | 2017.02.23 |
[스크랩] 우울증을 다스리는 팁... (0) | 2017.02.23 |
[스크랩] 무분별한 남성호르몬 주사 치료… 혈관 질환·성기능 저하 위험 (0) | 2017.02.23 |
[스크랩] 수면시간 4시간 이하면, 불안·우울·자살 생각 유병률 2~4배 높아 (0) | 2017.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