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건강정보

[스크랩] 수면시간 4시간 이하면, 불안·우울·자살 생각 유병률 2~4배 높아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7. 2. 23.

강북삼성병원 연구결과

엎드려 자는 남성
4시간 이하의 수면시간은 우울·불안·자살 생각 유병률을 2~4배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헬스조선 DB

잦은 야근으로 충분히 잠을 자지 못하는 직장인이 많다. 하지만 적정 수면 시간(7시간)보다 적게 자는 사람은 더 우울하거나 불안하고, 자살 생각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해야 한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는 2014년 한해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40대 근로자 20만4629명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과 우울·불안 점수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 7시간 수면을 기준으로 수면 시간이 부족하거나 길면, 우울·불안·자살 생각의 유병률이 완만한 U자 형태를 보이면서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7시간 잠을 잔 그룹의 우울·불안·자살 생각 유병률은 각각 4.3%, 2.0%, 5.0%였는데, 4시간 이하 그룹에서는 16.0%, 9.1%, 12.7%로 나타나 2~4배가량 높았다.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임세원 부소장(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연구 결과를 바꿔 생각하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에게 7시간의 수면시간을 보장하면, 우울증과 불안 장애는 물론, 자살까지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하루 24시간 중 3분의 1을 차지하는 7~8시간의 적정 수면은 직원의 건강과 행복뿐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까지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7시간을 초과해 10시간 이상 자는 사람도 우울·불안·자살 생각 유병률을 약 1.3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7시간 정도의 적정 수면시간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면의학분야 국제학술지인 '수면과 생체리듬' 1월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21/2017022101571.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