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1/2017020100977_0.jpg)
암(癌) 환자들은 보통 수술 후 5년 이내에 재발하지 않으면 완치 판정을 받는다. 하지만 재발 환자의 약 8%는 수술 후 5년 후에 재발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백병원 위암센터 이우용 교수팀이 1998~2002년 서울백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1299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분석한 전체 환자의 20.5%(266명)에서 암이 재발했고, 그중 5년 이후 재발한 환자가 8.6%(23명)였다. 또 재발 환자 중 수술 후 2~5년 이내 재발 환자는 22.9%(61명)이었고, 수술 후 2년이 채 안 돼 암이 재발한 경우가 68.4%(182명)로 가장 많았다.
![그래프](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1/2017020100977_1.jpg)
더불어 나이가 젊고, 종양 크기가 클수록 5년 이후 재발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하는 시기별로 전이 부위도 조금씩 달랐다. 수술 5년 이후 재발한 경우 위 주위에 발생하는 국소전이(43.4%, 10명)가 가장 많았으나 2년 이내에 재발한 경우 복막전이(40.6%, 74명)가 가장 많았다.
전체 재발 환자의 전이 부위에 관해서는 복막전이가 40%(107명)로 가장 많았으며, 위 절제 후 위 주변 남아있는 부위에 암이 생기는 국소전이(26.7%, 71명), 여러 장기에 암이 생기는 다중전이(17.6%), 간·폐·뇌 등 혈액이 흐르는 장기에 암이 생기는 혈종전이(15.4%)가 그 뒤를 이었다.
재발 환자의 90% 이상은 림프샘 전이(후기 96.5%, 중기 91.8%, 초기 96.1%)를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프](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2/01/2017020100977_2.jpg)
이우용 위암센터 교수(외과)는 “암이 5년 이상 재발하지 않으면 완치됐다는 생각에 몸 관리를 소홀히 하고 정기 검진도 받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술 후 5년이 지난 후에도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재발을 조기 발견해 가능한 한 빨리 맟춤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Chi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1/2017020101045.html
'병원 치료 > 암치료 후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힘든 시간 겪은 암환자, 미래 확신 강하면 더 행복해” (0) | 2017.04.03 |
---|---|
[스크랩] 암생존자, 항불안제·항우울제 많이 사용 (0) | 2017.02.09 |
[스크랩] 병기 관련 없는 암 재발 예측법 개발 (0) | 2017.01.25 |
[스크랩] 유방암 수술 뒤 ‘역기’ 들면 도움된다 (0) | 2016.12.14 |
[스크랩] 갑상선 수술 후 합병증 줄이는 길 열다 (0) | 2016.12.07 |